대부분이 이해하고 있는 사자성어지만 무주공산이란 말은 주인 없이 비어있는 산을 말한다.

주인이 없으니 누구든 선점하는 사람이 임자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최근 비례대표 국회의원에 당선된 윤미향 정의연(정의기억연대) 전 대표에 대한 논란이 정치권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회자되고 있다.

보편적으로 실망스럽고 미덥지 않은 대화들을 들을 수 있어 필자도 여기에 한 사람이 되어본다.

많은 의혹과 불신의 소리를 들으면서 무주공산이라는 말이 떠올랐던 것은 적지 않은 기부금과 국가 보조금의 사용처를 두고 각종 의혹이 쏟아지면서 논란의 중심이 되고 그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 그 돈들은 ‘눈먼 돈’처럼 여겨진 까닭이다.

지난 5월7일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 이후에 정의연측에서 “어느 NGO(비정부기구)가 활동 내역을 낱낱이 공개하느냐. 가혹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힌 말을 통해 논란이 되고 있는 정의연의 회계처리에 대해 NGO의 모든 돈은 무주공산처럼 선점하는 사람이 주인이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과연 정의연과 같은 시민단체의 재정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지나치게 가혹한 일이 되는 것일까? 투명성을 가지지 못하는 재정이라면 누가 무엇을 위해 언제 어떻게 사용하였는지를 알지 못하는 것을 전제로 활동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공적인 일을 진행하는 일에는 더욱 투명성이 요구되고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정의연은 그 동안 우리 사회에 성역가운데 하나로 감히 잘못된 발언이나 비판적인 태도는 친일로 여겨지는 것으로 인해 누구도 함부로 언급할 수 없는 단체였다.

어쩌면 그러한 단체여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최근 나온 일부 언론 보도가 왜곡됐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30년 운동을 무력화하는 탄압”이라고 주장하는지도 모른다.

정의연은 12일 입장문을 내고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구체적인 사업 내용과 재정지출 내역 등 명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했지만 일부 언론에서 정의연이 심각한 도덕적 문제가 있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말하고 “피해자의 말을 의도적으로 악용해 진실공방으로 사태 본질을 흐리고 있다”며 “정의연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30년 운동을 무력화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는 인권운동 전체에 대한 탄압으로 규정한다”고 강조한다.

물론 그 동안의 업적이 전혀 없다는 것은 아니다.

정의로운 활동을 담보로 하여 몇몇 개인의 사욕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는 것이고 그에 대한 투명한 진실을 원하는 것이다.

과연 이용수 할머니는 정의연과 어떤 악연관계이기에 지난 25일 “30년 동안 이용만 당했다”며 정의기억연대(정의연)와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전 정의연 이사장)을 향해 날 선 비판을 쏟아내고 각종 의혹에 휩싸인 윤 당선인을 향해선 “아직 그 사람은 자기가 당당하다고 생각한다”며 “죄를 지었으면 죄(벌)를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을까? 너무 연로하신 탓으로 멘탈에 문제가 온 탓이라고 하기에는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 상황은 분명한 어조였다.

민생당 박지원 의원은 이날 오후 이 할머니 기자회견 직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원고도 보지 않고 어떻게 저렇게 논리정연하게 정리해 말씀하실까 놀랐다”며 “기억력 등 이상한 매도는 통하지 않을 것 같다”라고 할 만큼 모든 사람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정의연은 20일 수요집회에서 '초기 정대협(정의기억연대 전신) 선배들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정대협 초대 공동대표였던 윤정옥 이화여대 명예교수와 이효재 이화여대 명예교수를 포함, 12명 이름이 담긴 입장문에는 ‘윤 전 대표는 정대협 설립 시에 간사로 시작해 사무총장, 대표직까지 오직 정대협 운동에 일생을 헌신한 사람’이라는 표현도 있었지만 윤 명예교수는 “그런 말을 한 적도 없고 입장문에 대해 들어본 적도 없고 정대협과 윤미향 전 대표에게서 최근 어떠한 연락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는 보도도 나왔는데 의혹에 의혹을 더하는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문제는 이러한 의혹들이 과연 정의연에만 있는 일에 불과한 것일까 하는 인식을 가지게 한다.

시민단체들의 선의의 활동을 위해 기부하는 기부금이 설립취지와 달리 몇몇 개인의 사적인 이익을 위해 활용된다면 국민들의 불신으로 이어져 기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자칫 특정단체의 잘못된 활동이 전체 시민단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확대될까 염려스럽다.

2017년 '어금니 아빠'로 불렸던 이영학의 안타까운 사연에 딸 치료비 명목으로 기부되었던 14억원이 실제 치료비로 사용된 것은 1억원 남짓에 불과하고 자신의 호화 생활을 누린 사건은 기부문화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었다.

여러 시민단체는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전 정의연 이사장)과 전·현직 정의연 이사들을 업무상 배임, 기부금품법 위반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기 때문에 의혹이 밝혀지게 될 것이다.

현재 언론에 보도된 많은 내용들이 사실과 다른 내용이라면 정의연이 발표한 것처럼 “정의연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30년 운동을 무력화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는 인권운동 전체에 대한 탄압”이 되겠지만 의혹이 사실로 결론된다면 기부문화에 크게 악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이번 논란을 통해 모든 사회단체가 투명한 운영을 통해 기부문화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전주남부교회 강태문 목사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