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농촌이 전통적 농업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농업 경쟁력 향상 방안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본보는 전북농촌이 늙어가는 가운데 농가 10곳 중 7곳은 전업농가로, 그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고, 농가 경영형태에서 논벼재배가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로 본 2019년 호남‧제주 농림어업 현황 및 분석’자료에 따른 내용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도내 농가는 2018년보다 0.2% 소폭 감소한 9만5천가구로, 총가구의 1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유형은 2인 가구가 전체 농가의 57.6%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1인 가구(21.6%)가 그 뒤를 이었다.

농가의 평균 가구원 수는 2.2명으로 집계됐다.

도내 농가 인구는 20만4천명으로 2018년보다 2.1% 감소했으며, 총인구의 11.3%를 차지했다.

농가와 농가인구의 비율은 전국 평균을 모두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도내 농가가 전국 농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4%로 17개 시·도 가운데 경북, 전남, 경남, 충남, 경기 다음인 것으로 파악됐다.

농가 인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70세 이상이 7만명으로 34.4%로 가장 많았다.

특히 65세 이상인 고령인구 비율은 2018년보다 1.6%p 증가한 48%로 집계됐다.

이는 그만큼 전북농촌의 고령화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농업 경영의 경우 전북지역은 겸업농가보다는 전업농가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업농가는 6만2천가구로, 그 비율은 65.4%다.

전국 전업농가 비율인 57.9%를 크게 상회하는 것은 물론 전북의 전업농 비율이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반면, 전체 농가의 51.7%, 4만8천900가구 논벼 재배를하고 있는 가구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결국 도내 농가의 고령화가 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고, 논벼 중심의 전업농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자칫 농업의 경쟁력 악화를 불러올 수 있어 겸업농 확대 등 농업 경영 다변화 대책이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젊은 피 수혈이 급선무다.

늙어가는 농촌에 젊은 층의 유입을 위한 인구 정책, 그리고 이와 함께 농업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 경영전략이 서둘러 나와야할 것이다.

‘농도(農道) 전북’이라는 타이틀이 긍정적 의미를 부여받기 위해서는 작금의 농촌과 구조를 새롭게 바꿔 나가야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