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달 수출액 3억7,083만달러
11년만에 4억달러 하회해
건설광산기계-정밀화학원료
각각 전년比 22.7%-63.6%↓

전북수출이 벼랑 끝에 내몰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본격화되면서 전북수출을 이끌던 주요 품목의 하락세가 더욱 가파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같은 사태가 더욱 심화되면서 불확실성에 직면할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는 전북만의 산업 육성·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4일 한국무역협회 전북지역본부(본부장 이강일)가 발표한 ‘2020년 5월 전라북도 무역동향’에 따르면 수출액은 3억7천83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무려 36.1%나 감소했다.

수출감소폭이 나날이 확대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수출액이 지난 2009년 3월 이후 11년 만에 4억 달러를 하회한 상황이다.

이에 무역수지도 적자(155만 달러)를 기록, 사스의 영향을 받았던 2003년 1월 이후 처음이다.

우리나라 총수출의 1.06%에 불과한 수치로, 17개 광역지자체 중 4번째로 하락세가 가파르며, 규모 역시 12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5월 수출실적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1위는 ‘건설광산기계’가 차지했다.

하지만 미국, 벨기에 등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전년동월대비 22.7% 정도 준 3천256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은 ‘농약 및 의약품’은 방글라데시, 인도네이사, 일본 등 아시아권으로의 수출이 늘면서 1년 전보다 17.3% 증가한 3천204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정밀화학원료’는 최대 시장인 중국으로의 감소폭이 큰 만큼 전년동월대비 63.6% 감소한 2천618만 달러에 그치면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동안 전북수출의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온 ‘자동차(-51.0%, 1천185만달러)’는 베트남, 칠레, 일본 등으로의 수출이 급감하면서 겨우 10위에 안착, 이와 짝꿍인 ‘자동차부품’은 전달에 이어 상위 10권에 들어오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외의 상위 품목 가운데 농기계를 제외한 동제품, 합성수지, 종이제품 등의 모두 감소했다.

수출대상국 역시 2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국가 중 헝가리(956만달러, 86.8%), 방글라데시(923만달러, 107.6%), 인도네시아(909만달러, 34.1%)를 제외하고, 모두 지난해 실적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수출 주요 대상국인 1위인 중국으로의 수출은 20.6%나 감소, 미국, 일본, 베트남 주요 수출대상국 역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결국, 코로나19 팬더믹 여파가 본격화, 각국의 경기가 크게 침체되면서 소비가 위축됨에 따라 전북의 주요 수출품목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 것이다.

문제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피해가 본격화된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영향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과 유사할 것으로 우려, 그 기간은 금융위기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현재 무역 감소 원인은 경제활동 전면 중단 및 국경 간 이동제한에 따른 것으로, 국제공조 체제도 약화됨에 따라 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기 때문.

더욱이, 코로나19의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경기회복에 긴 시간이 소요, 미중 통상마찰에 따른 글로벌 밸류 체인의 약화와 소비 트렌드의 변화 등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여 향후 전북수출은 더 큰 불확실성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로 인해 수출기업이 이 같은 변화에 적극 대비할 수 있는 지원책을 강화하는 한편, 코로나19 사태로 수요 요인이 있는 품목을 선별해 지원하는 등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고 전북의 강점을 살린 산업 육성·지원 정책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강일 본부장은 “정밀화학, 철강업종에서 수출이 많은 대기업이 생산을 중단하거나 감산했고, 낮은 유가도 수출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의 영향까지 본격화됐다. 그야말로 삼중고가 발생했다”며 “과거 사례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는 사스나 메르스 같은 국제 감염병보다 2008년 금융위기와 맞먹거나 더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포스트 코로나를 염두에 두고 전북이 강점을 갖고 있는 농식품산업 지원 강화와 리쇼어링(유턴) 기업 유치, 첨단산업 육성 등 장기적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