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고용유지를 약속하는 전주지역 ‘해고 없는 도시’ 프로젝트가 갈수록 진화하고 있다.

지난 4월 ‘해고 없는 도시’ 선포 이후 5월 1차 체결 상생 협약 79개 참여 기업 중 절반 이상이 제조업 분야였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전주지역의 ‘해고 없는 도시’ 동참 기업이 제조업 중심에서 도소매업, 건설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해고 없는 도시’ 동참 기업이 양적 확대와 함께 다양성 측면에서도 진화하고 있어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이는 기업 경영이 불안정한 상황임에도 다양한 분야 기업들이 참여함으로써 코로나19발(發) 대량해고 사태를 막아내고, 지역사회 붕괴를 차단, 시민들의 안정된 삶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 23일 본보를 포함한 언론사 7개사, 서비스업 31곳, 제조업 33곳, 도소매업 16곳, 건설업 15곳 등 총 138곳의 기업 대표들과 코로나19 고용 위기 극복을 위한 ‘해고 없는 도시’ 상생협약을 비대면으로 체결했다.

쉬이 나서기 좋아하지 않는 언론도 이번에는 언론 종사자들의 고용유지를 위해 함께했다는 점이 언론인의 한 사람으로써 자랑스러웠다.

‘해고 없는 도시’ 상생협약 기업은 지난 5월 13일 1차 협약을 체결한 79곳을 포함해 모두 217곳으로 늘어났다.

특히 '해고 없는 도시'에 참여한 기업 중 제조업 분야가 60%에 육박했던 1차 협약과 달리, 다양한 산업 분야 기업들이 동참하며 지역 내 상생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큰 힘이 실렸다.

이날 협약에 동참한 상생기업은 코로나19 종식 시까지 근로자 해고 없이 고용을 유지하고 고통을 분담키로 약속하며, 기업과 근로자, 지역 구성원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 현 위기를 이겨내는데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시는 이들 상생기업에 고용유지 경영 안정 자금 이차보전을 비롯해 중소기업육성자금 상환도래 기업 이차보전 연장지원, 교용유지 교육·훈련 참여기업에 수당지원 등 각종 고용안정 지원금을 지원하게 된다.

그런가 하면 시가 추진하는 기업 맞춤형 해외 마케팅 지원사업과 중소기업 환경개선사업 등에 참여할 경우 가산점도 부여하게 된다.

앞서 지난 4월 전주 지역 노·사·민·정은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해고 없는 도시'를 선포하고 기업은 고용유지를, 노동계는 대화와 양보를 통한 기업 경영 안정과 발전을 위해 상호 협조키로 한 바 있다.

지역의 변화와 상생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닌가 싶다.

작금의 코로나19라는 어려운 위기 상황 속에서도 강력한 사회 연대의 고리를 만들어가고 있는 전주시와 ‘고용안정’이라는 시대 사명에 적극 동참해준 기업들에 박수를 보내지 않는 이 누가 있을까.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