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에 아파트 담장에도, 길가 담장에도 빨간 장미가 예쁘게 피어있어 마음 즐거워진다.

조선 초, 시서화에 두루 능통하였던 강희안의 원예 책 ‘양화소록’에 보면 장미는 가우라 하여 화목 9품계 중 5등에 위치하고 있다.

원산지는 서아시아로 100종 이상이 자생하며 우리나라 시골이나 해안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찔레꽃, 해당화, 돌가시나무도 야생 장미에 속한다.

이렇듯 한국에서 중간 정도의 취급을 받던 장미가 지금은 세계적인 조류를 타고 꽃 중의 꽃으로 변하여, 생일 꽃은 물론 이성교제 시, 사귄지 100일이면 100송이의 장미를 선물해야 하는 등 없어서는 안 될 꽃으로 변하였다.

한국은 네덜란드보다 더 좋은 장미를 생산하여 러시아까지 비싼 값에 수출도 하지만 99%의 국화에 이어 98%의 종자 로열티를 지불하는 대표적 식물이기도 하다.

장미는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25,000종 개발되었고 7,000여종이 재배되며 지금도 매년 200종 이상의 새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색깔 또한 청 황 흑 록 적은 물론 무지개 보라 등 각양각색이며 이에 따른 꽃말 또한 기억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해충으로부터 꽃을 보호하기 위한 장미가시의 유래가 그리스신화에는 모성애로 나와 있다.

큐피드가 장미꽃의 아름다움에 반해 키스하려는 순간, 벌이 나와 큐피드의 입술을 쏘아 버렸다.

화가 난 큐피드의 어머니 비너스는 벌침을 장미 줄기에 붙여 버렸는데, 이것이 가시가 되었다고 한다.

미국에 살던 13살짜리 조셉은 양치기를 하면서 딴전을 부릴 때 마다, 양이 철사줄 울타리를 넘어 이웃집 콩밭을 망가뜨려 놓아, 그 때마다 부모로부터 심한 꾸중을 들어야 했다.

그런데 가만히 관찰해 보니 덩굴장미 울타리엔 양이 근접을 못하는 것이었다.

이유는 장미 줄기의 가시였고, 그로부터 그는 두 가닥 철사 사이에 철가시를 넣고 꼬아 만든 철조망을 발명하였다.

아파트촌 담장에 덩굴장미를 심은 곳이 많은데 늦봄부터 한여름까지 주민뿐 아니라 지나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 화보에서 본 교도소 담장 철조망 위에 아름답게 덩굴장미가 만발하였다.

장미가시 때문에 발명한 철조망인데, 그 위에 걸쳐 핀 장미꽃 모습이나, 매일 이를 대할 사람들이 어쩐지 가련해 보인다.

난개발로 도심 속 삭막한 콘크리트 옹벽이 있는 곳, 높은 석축이 있는 곳에 덩굴장미나, 담쟁이 넝쿨을 심어서 도시의 경관을 부드럽게 했으면 한다.

/라인종합 건축사 사무소 김남중 대표 건축사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