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2019년취업자수 연평균
증가율 -3.6% 전국 최하위
인구감소세 개선-취업실패
실망노동자효과완화책 필요

지역 주력산업 부진에 따라 핵심노동인구 주축인 30~40대 고용 여건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경제의 성장 동력 약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큰 만큼 30~40대 경제활동율 제고에 집중, 선장동력산업의 지속적인 육성 및 발굴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7일 한국은행 전북본부 기획조사팀 김종원 과장과 양준빈 조사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북지역 30~40대 고용 동향, 변화 요인 및 고용의 질’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조사연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부진으로 고용여건이 악화, 도내 역시 예외는 아닌 만큼 전반적으로 고용동향을 살펴보고 특히 핵심노동인구 주축인 30~40대의 고용현황 및 변화요인을 분석한 후 고용의 질을 평가해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르면 2010~2019년까지 30~40대 고용은 전체 연령과 비슷하게 2016년을 전후해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2010년 취업자 수가 39만7천명에서 2019년 36만1천명으로 감소했으며, 인구요인이 통제된 고용률도 2010~2016년까지 증가하다가 2017년 이후부터는 감소로 전환된 것이다.

특히, 2016~2019년 중 30~40대 취업자 수는 연평균 증가율이 –3.6%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며, 이들이 전체 취업자 중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취업자 수 감소는 무엇보다 30~40대 인구 감소세 확대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2016년까지는 순유입세가 지속됐으나 2017년부터는 순유출로 전환, 이는 전북지역이 2016년 이후 조선, 자동차 산업 등 지역 주력산업이 연이은 악재를 겪으면서 지역경제가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됨에 따른 여파다.

뿐만 아니라 경제 부진은 일자리 부족 현상을 심화시켜 실업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2019년에는 수도권이나 전남·광주, 대전·충남 등 인근지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임시·일용직 등의 증가로, 실업자가 경기불황으로 취업 실패를 거듭하는 경우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해버리고 비경제할동인구로 전환되는 실망노동자효과에 따라 경제활동참가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고용의 질 역시 전반적으로 악화, 특히 2016년 대비 2019년 기준 고용률(-2.0%p), 실업률(+2.1%p) 및 경제활동참가율(-2.0%p) 측면에서 모두 나빠지면서 고용기회가 악화됐다.

16개 시·도 가운데 고용지표 순위는 고용률이 2016년 4위에서 2019년 11위로, 실업률은 1위에서 15위로, 경제활동참가율은 6위에서 11위로 하락하면서 전반적으로 하위권에 머문 것으로 집계됐다.

또, 고용의 안정성이나 임금 보상은 개선되기는 했지만 타지역 대비 낮은 수준으로 개선 정도는 미흡했다.

 한은 전북본부는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장기적으로 전북경제의 성장동력을 약화시킬 것을 우려, 이에 30~40대 취업자 수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구 감소세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안전망을 통해 실망노동자 효과를 완화하는 등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수립과 고용의 질 개선을 위해 성장동력산업의 지속적인 육성 및 발굴 등 산업기반을 확충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