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관련한 지방정부의 코드 맞추기가 한창이다.

전북의 자치단체들은 과연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16일 정책조정회의에서 “수소차 보급 확대는 친환경 저탄소 그린뉴딜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이동량이 많은 사업용 차량에 대한 적절한 지원대책 마련이 필수”라 언급하며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화물차운수사업법 개정을 통해 연료보조정책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런가하면 수소차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친환경 미래모빌리티 확산을 가속시켜 2025년까지 수소차 20만대 누적 보급 확대 목표를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그린뉴딜의 핵심이 수소차 보급 확대에 있고, 이의 적극적 뒷받침을 국회와 당 차원에서 해나가겠다는 취지다.

그린뉴딜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에 대한 큰 흐름 속에서 지방정부, 자치단체 차원의 역할은 무엇일까? 정부의 이런 움직임 속에서 저탄소 그린뉴딜의 지속적인 지역 착근화에 있을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전주시가 최근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발맞춰 친환경 수소자동차의 민간 보급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올 하반기 미세먼지 발생을 줄여 쾌적한 대기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 아래 118대의 수소자동차를 민간에 추가 보급키로 했다.

이 사업은 개인 또는 법인이 수소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1대 당 가격의 절반이 넘는 365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해주는 것으로, 시는 앞서 상반기에 보급된 140대를 포함해 올해 총 258대의 수소자동차를 보급키로 했다.

신청자격은 30일 이상 전주시에 주소를 둔 만18세 이상 개인과 전주시에 주소를 둔 법인으로, 지방세 등의 체납이 없는 시민이면 개인·법인 1대까지 구입이 가능하다고 한다.

특히 시는 장애인과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다자녀가구 등에 24대를 우선 배정할 방침이라고 한다.

저탄소 그린뉴딜 정책에 있어 지방정부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책 추진이 바로 수소자동차의 민간 보급인 것이다.

이런 수동적 형태의 코드 맞추기만으로도 향후 5년 후면 전국적으로 20만대 이상의 수소차가 전국의 도로 위를 달리게 되고, 휘발유·경유·LPG주유소 대신 가는 곳마다 수소충전소를 만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100여대의 수소차는 시간당 성인 4300여명의 숨 쉴 수 있는 공기를 정화시킨다.

때문에 지금보다 미세먼지가 현저히 사라지게 되고, 어떤 곳에는 별도의 청청지대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 어떤 곳은 경유차 진입 제한구역이 생겨날지도 모를 일이다.

근 미래에 우리 눈앞에 펼쳐질 수 있는 일이며, 이 모두는 그린뉴딜의 핵심인 수소차 보급에 기인하는 것들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