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가 전국 혁신도시가운데 일자리 창출분야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기업유치도 전국 상위권을 기록했다.

이 같은 사실은 국토연구원 연구팀이 최근 전국 혁신도시를 대상으로 그 성과를 분석하고 집대성한 ‘혁신도시 15년의 성과평가와 미래발전 전략’을 공개하며 드러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혁신도시의 인구는 지난 연말 현재 20만4천716명으로 2030년 계획인구의 76.4%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 혁신도시는 인구가 7천522명으로 이미 계획인구 대비 107.5%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전북혁신도시의 경우 2만6929명으로 계획인구 달성률이 93.4%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계획인구 달성률이 가장 떨어지는 곳은 강원 혁신도시로, 달성률이 75.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혁신도시에는 지난해 말까지 1천704개 기업이 신규로 입주했고 이를 통해 창출한 일자리는 전국적으로 11만4천867개로 분석됐다.

기업이 가장 많이 유치된 곳은 434개사가 입주한 경남.

전북은 346개로 경남, 광주·전남에 이어 3위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은 일자리가 제일 많이 늘어난 곳으로 무려 2만1천874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긴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연구팀은 혁신도시 건설은 사업체 수나 관련 종사자 수 증가 등으로 지역산업 구조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나, 지역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기능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혁신도시에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형평성 원칙을 우선 적용하다 보니 국가균형발전의 취지에는 부합했지만 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부족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규모의 경제,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달성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설명이다.

또 혁신도시는 주로 신도시형이나 신시가지형 위주로 개발돼 인프라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예산이 투입됐고 정주여건을 성숙시키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혁신도시 주민의 정주 만족도 개선이 과제로 남아있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이밖에도 많은 발전적 제안들을 제시했지만 이중에서도 필자의 눈에 가장 띤 부분은 혁신도시의 역량을 주변지역으로 확산하기 위해선 공공기관의 상생발전 사업 참여 확대, 그리고 주변지역을 포함한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고 생활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부분이었다.

지역에 착근하려는 공공기관의 자구노력, 그리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지역 지자체의 노력이 함께 수반됐을 때 이 모두는 가능하리란 생각이다.

연구팀이 제안한 여러 미래전략들을 우리 지역의 특성에 맞도록 변화시켜 버릴 건 버리고 취할 건 적극적으로 취해 전북혁신도시 성장의 동력으로 삼아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