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전공의-전임의 506명
대다수파업동참··· 수술연기
외래 예약 변경 등 불가피해
"밥그릇싸움에 환자만피해"

코로나19 확산에도 도내 의료계가 또다시 총파업을 강행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도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대학병원에서부터 동네 의원에 이르기까지 전국 상당수 의료진들이 업무에서 손을 떼면서 의료공백 우려가 현실화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민 건강을 볼모로 잡은 파업’이라는 비판부터 ‘국민 신뢰를 저버린 행위’라는 지적과 함께 ‘코로나19로 엄중한 시기에 파업은 중단해야 한다’는 조언 등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가 정책 추진을 보류하겠다며 파업 자제를 촉구했으나, 대한의사협회는 뜻을 굽히지 않고 강행 의지를 밝혔다.

실제로 지난 21일에는 인턴·레지던트 4년 차, 22일에는 레지던트 3년 차, 23일에는 레지던트 1·2년 차 순으로 잇따라 무기한 파업은 시작됐다.

전북권에는 현재 상급종합병원 2곳과 일반종합병원 72곳, 요양병원 84곳, 동네의원 1천164곳 등 모두 1천333곳이 영업 중이다.

이 가운데 391명의 전공의와 115명의 전임의 대다수가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대학교병원의 경우 181명의 전공의에 이어 22명의 전임의도 파업에 동참키로 했다.

병원 한 관계자는 “연기된 수술 현황 등은 각 진료 과에서 협조해 진행되는 사안이라 정확한 파악은 어렵다”며 “전공의는 외래진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파업기간 동안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전임의 진료 공백에 대비하기 위해 병원 예약실서 환자에게 미리 공지해 다른 전문의교수에게 예약을 변경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료계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육성 등을 4대 악 의료정책으로 규정하고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두고 정부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문제는 코로나19 수도권 확산 상황이 안정된 이후 의료계와 논의해 추진하겠다”고 말했지만, 의료계는 “정부가 무의미한 수사를 반복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거부했다.

사정이 이렇자, 잇단 의료계 파업을 바라보는 시민들 시선도 싸늘하기만 하다.

도민들이 아프면 가장 먼저 찾는 1차 의료기관인 병원들의 파업은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전국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2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가을을 앞두고 장기전 대비까지 필요한 상황에서 의료진들의 파업은 도민들을 지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의사와 의료시설이 늘어나면 국민 건강복지 차원에서 삶의질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감도 크다.

전북대병원에서 만난 일부 환자나 보호자들은 진료나 회진 연기 등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암병동에 입원한 아버지를 간호하고 있다는 은모씨(50)는 “파업이 길어지면 진료받기가 지금보다 더 힘들어질 텐데 불안하다”면서 “의사들의 파업으로 생긴 피해를 환자들이 받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은씨는 “결국 의사들이 밥그릇 싸움하는데 환자가 피해보는 거 아니냐”면서 “파업도 시와 때가 있는 법인데, 지금은 누구에세 물어봐도 때가 아니지 않냐”고 지적했다.

/윤홍식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