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창훈 '로컬이 미래다'··· '교육-지역-삶'
선순환 '풀뿌리 지역교육' 실현방안 담아

학교의 담장을 넘어 교육과 지역, 삶의 선순환을 위한 제언한 책이 발간됐다.

추창훈 교사의 ‘로컬이 미래다’는 지역의 삶과 교육을 함께 살릴 대안으로 풀뿌리 지역교육을 지목한다.

23년간 교사로, 5년간 완주교육지원청 장학사로 근무했던 저자는 학교와 마을, 지역사회가 함께 아이들을 키우고, 그들이 살아갈 여건을 만들어나갈 때 침체된 지역의 삶과 교육이 상생할 수 있음을 통찰했다.

이에 완주 교육공동체 활동을 소개했던 ‘로컬에듀’(2017)에 이어, 이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교육, 지역, 삶의 변화와 비전을 제시하는 책을 펴낸 것이다.

책은 지역교육의 주체인 지역과 학교, 교사와 주민, 지자체와 교육청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며, 이들이 ‘마을학교공동체’로서 어떻게 협력해야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알려준다.

‘1장 혁신교육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교육 환경이 우리 교육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따라 학교와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제안한다.

그리고 10여 년 전부터 ‘교육-지역-삶의 선순환’을 목표로 우리 교육 현실을 개선하려는 ‘혁신교육’ 운동의 태동과 발전, 개선할 점 등을 되짚어본다.

‘2장.지역의 시민을 키우는 풀뿌리 지역교육’에서는 기존의 ‘마을교육공동체’라는 용어에 지역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학교’와 ‘교사’가 빠져 있는 점을 지적한다.

이에 학교와 마을이 힘을 합쳐서 아이를 키우는 ‘마을교육공동체’, 지자체와 교육지원청이 지역교육의 행정적 지원을 뒷받침하는 ‘지역교육공동체’로 교육 주체 간 협력과 역할을 구체적으로 구분하고, 이 둘을 합쳐 지역의 교육력과 정주 여건을 높이는 ‘풀뿌리 지역교육’을 이루어 나갈 것을 주장한다.

‘3장.교육자치와 지방자치에서 시민교육자치로’은 학교와 마을이 협업해 아이를 키우는 로컬에듀의 구체적 실천 모델인 ‘풀뿌리교육지원센터’의 설립 배경을 설명한다.

또 이것이 어떻게 마을과 학교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하는지를 완주의 고산풀뿌리교육지원센터, 소양풀뿌리교육지원센터의 사례를 들어 살펴본다.

두 지역의 풀뿌리교육지원센터가 마을 협동조합을 운영하며 지역의 교육 환경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학교와 교사는 무엇을 요구하는지, 아이들과 학부모의 필요사항은 무엇인지 듣고 해결하는 과정을 보면서 시민교육자치를 실현할 방법에 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4장.지역과 로컬, 희망과 기회의 땅’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자신이 살아온 지역과 로컬에서 꿈을 찾아 정착한 사람들이 늘고 있음을 밝히며, 그들이 성공적으로 지역에 자리 잡고 지역의 구성원으로 떳떳하게 살아가기 위해 지역사회와 교육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서술한다.

이와 관련해 로컬푸드로 생산과 소비, 삶을 촘촘히 엮어낸 완주의 사례를 눈여겨볼 만하다.

저자 추창훈은 1990년에 교직에 들어와 23년간 국어를 가르쳤다.

2013년부터 전라북도 완주교육지원청에서 장학사로 5년간 근무하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 배우고, 실천했다.

이듬해 1월, 경기도 혁신교육지구를 운명처럼 접하고부터 삶이 달라졌다.

학교와 마을이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 함께 살아가는 ‘로컬에듀’를 꿈꾸며 곁눈질 한번 하지 않고, 숨 가쁘게 달려왔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