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장점마을 ‘집단 암 발병사태’를 불러온 발암물질 연초박이 별다른 조치 없이 수년간 유통됐다고 한다.

그것도 정부기관인 환경부가 1년간 유통되도록 내버려 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연초박은 익산 뿐 아니라 강원도와 경북 등 전국 여러 곳에 유통된 것으로 나타나 제2의 장점마을 사태가 전국 곳곳에서 발생될 우려마저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더불어민주당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환경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 드러났다.

자료에 따르면, 연초박의 유일한 생산자인 KT&G는 2018년 862t, 2019년 284t, 2020년(1~8월) 1220t 규모의 연초박을 유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지역도 강원도를 비롯해 경북, 전남, 강원, 경기, 부산 등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업체들은 KT&G로부터 지속적으로 연초박을 반입해 퇴비를 생산해왔다.

2019년에도 예년과 동일하게 재활용돼 퇴비 생산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는 이미 지난 2018년 7월 연초박이 인체에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발암물질의 위험성을 지적하는 건강영향평가 중간보고를 받은 바 있다고 한다.

이런 보고서를 받고서도 이를 무시하고 별다른 조치 없이 유통을 허가해줬다는 게 장 의원의 주장이다.

그러다 2019년 11월에 가서야 뒤늦게 공식적으로 공장 배출 오염물질과 주민 발암 간 역학적 관련성을 인정했다고 한다.

이후 관련 기관인 농촌진흥청도 올해 9월 연초박을 비료 원료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한다.

장 의원은 “환경부가 연초박의 위험성을 인식한 이후에도 1년 넘게 유통과 재활용에 대해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환경부와 농촌진흥청의 방관 속에 2019년에도 연초박이 여전히 비료의 원료로 사용돼 왔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해 가장 많은 210톤의 연초박이 반입된 A사의 경우 퇴비 제작 공정 중 80도 이상의 고온을 유지, 연초박에서 발암물질이 배출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때문에 ‘제2의 장점마을’ 사태 발생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주민 99명 가운데 무려 22명이 암에 걸려 이미 14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을 우리는 기억한다.

이런 장점마을과 같은 유사 마을이 또 있을 수 있는 것만으로도 숨이 막힌다.

지금이라도 정부 당국은 철저한 조사를 통해 장점마을과 같은 비극이 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전수조사를 벌여 강력한 조치를 취해 나가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