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여성 경제활동
간편-친환경식품 수요증가
전북 국식클 개발사업 수립
농진청 전주이전 등 토대마련

식품산업 출하액 2018년 8.6조
전국상회··· 제조업 비중 21%
지리-연구기관 집적화 강점

기업 영세-낮은 부가가치율
수출비중과제··· 지역농수산업
국식클 연계 인프라 확충을
해외시장 개척-트렌드 반영
제품개발-창업여건조성 시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경기 침체를 더욱 가속화시키면서 전북산업의 위기를 키우고 있다.

이는 비단 전북만이 겪는 상황은 아니지만, 산업 기반이 약하다 보니 여느 지역보다 외풍에 견디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전기·수소차, 신재생에너지, 탄소 등으로 체질 개선에 나선 시점에서 이는 큰 악재로 작용했다.

확보한 성장 동력을 통해 산업지형 재편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제동이 걸린 셈이다.

하지만 이런 위기 속에서 식품산업만은 꾸준히 버텨주고 있다.

국경을 넘어 먹고 사는 문제가 가장 중요한 만큼 식품산업은 여느 산업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전북은 지리적으로 식품산업이 발전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만큼 차세대성장 동력으로 식품산업을 선순위로 삼아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이제는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 세계 식품시장의 흐름에 부합한 품목에 기반한 기업을 적극 발굴·육성에 집중해야 한다.

이에 전북의 식품산업의 현주소를 되짚어 보고 세계 식품 시장의 트렌드에 맞춰 극복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 봤다.
/편집자주



▲빠른 속도로 성장한 국내외 식품산업 및 트렌드=식품산업은 음식료품 제조업을 의미하지만 외식업, 식품 유통업 등의 전방산업과 농·림·축·수산업 등의 후방산업까지 밀접하게 연계된 산업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파급 효과가 여느 산업보다 크다.

그렇다 보니 식품산업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집중,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빠르게 성장해 가고 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에 따르면 국내 식품산업의 출하액은 2010년 63.7조원에서 2018년 92.0조원으로 연평균 4.7% 성장, 제조업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4.8%에서 2018년 5.9%로 확대됐다.

이 기간에 제조업 전체 출하액은 연평균 2.1%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외적인 상황도 마찬가지다.

세계 식품산업의 시장 규모는 2017년 기준 6.2조달러로 주요산업인 IT(1.4조달러), 자동차(1.5조달러) 및 철강(1.0조달러)의 시장규모 합계를 상회하며 전체 시장의 7.7%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세계 식품산업 중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2.2조 달러로 가장 큰 비중(36.2%)을 차지, 이는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견조한 성장세에 힘입어 유럽이나 북미 등보다 상대적으로 성장 속도가 빠름에 따른 것이다.

이처럼 국내외 식품산업은 여느 산업보다 빠르게 성장하면서 주요 경제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수요 측면에서 소득수준 상승세가 이어지고 인구 고령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으로 건강기능식품, 간편식품, 친환경식품, 맞춤형·특수식품 등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공급측면에서는 푸드테크의 발전에 힘입어 고부가가치 식품 생산이 기술적으로 쉬워지고 전·후방 연관산업에서도 기술혁신이 진행되고 있다.



▲전북 식품산업의 현주소와 성장 가능성=전라북도 역시 식품산업의 성장 잠재력과 지역 내 생산된 농축산물의 안정적 수요기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틀이라는 점에 주목하며 일찌감치 이를 4대 전략산업의 하나로 선정했다.

이후 지역 주력산업으로 삼고, 농생명 및 식품 관련 국책기관·사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연구개발 및 산업화 기반 조성에 집중했다.

국가식품클러스터 개발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동부권 식품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지역 내 식품산업 생산 토대를 다진 것이다.

여기에 농생명 혁신도시 조성에 따라 지난 2008년 12월 국내 농생명 연구 분야의 중추 기관인 농촌진흥청 및 식품 관련 기관의 전주 이전이 결정되면서 전북의 식품산업은 농업·농촌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협의가 아닌 광의적인 의미의 식품산업으로 발돋움했다는 의미다.

이에 2014년 전북도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에 따라 농생명정책의 비전을 삼락농정으로 설정하고 농산물 판로 확보 등의 목표를 추가했다.

현재는 농민 중심의 ‘농가소득·농민행복 향상’과 ‘미래형 농업분야를 이끌 성장동력 확보’라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 식품산업은 지역농식품산업 육성과 함께 기능성식품과 같은 고부가가치 식품, 발효미생물소재, 펫푸드 등에 대한 수요 증가 추세를 반영해 다각화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전북 식품산업은 2010년대에 들어 빠르게 성장했다.

2010년 출하액은 5.8조원에서 2018년 8.6조원으로 연평균 5.1% 증가, 전국(연평균 4.7%) 평균을 상회했다.

동 기간 중 식품산업이 제조업보다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감에 따라 식품사업 출하액은 제조업 전체에서 자치하는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18년 20.8%로 확대됐다.

종사자 수나 사업체 수 역시 마찬가지다.

지역경제의 핵심 전략산업으로 성장했다는 의미로, 더욱이 전·후방산업과 연계하며 영역이 확대된 만큼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더 크다는데 이견이 없는 상황.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전북의 식품산업은 지리적인 강점과 연구기관의 집적화, 전북도의 강한 추진 의지까지 두루 갖춤에 따라 성장 속도도 빠르며, 영역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며 “이런 노력으로 현재 식품산업은 자동차, 화학 등 여타 주력산업이 부진을 이어가는 속에서도 견조한 증가세를 지속하며 지역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식품기업의 영세화에 따른 혁신역량 취약 등의 문제 여전해=하지만 문제는 성장 가능성을 가속화시키기에는 현재의 역량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이다.

산업의 활성화는 결국 기업이 주도해야 하는데 현재 도내 농식품기업들은 영세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기 때문.

2015년 경제총조사기준 도내 식품업체 중 영세업체(종사자수 10인 미만) 비중은 전국평균을 1%p 웃돈 92%로, 경북(94.2%) 다음으로 높았다.

뿐만 아니라 낮은 부가가치율과 수출 비중도 전북 식품산업이 성장하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2018년 기준 도내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는 2.5조원으로 경기, 충북, 충남 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부가가치율은 2018년 29.0%로 2010년보다 3.3%p 하락했다.

생산액 대비 원재료비의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에 따른 것이다.

수출액의 경우 2018년 1.9억달러로 경기, 강원, 경북 등에 보다 낮은 상황.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10~2018년 중 연평균 15.2% 증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현재 지역 농수산물을 활용해 건강기능식품, 간편식품, 펫푸드 등 최근 트렌드에 부합한 고부가가치 식품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지만 성장 속도가 더디다는 점 역시 취약점이다.



▲전북의 차세대 동력으로 식품산업이 확고히 자리 잡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이에 식품산업이 성장 가능성을 키우기 위해 우선, 현재 육성 중인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전북지역 농수산업과 식품산업 연계 강화 및 특화 제품 개발에 좀 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확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어, 영세한 식품기업들이 성장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식품산업 클러스터 및 지역 협동조합 등을 통해 지역 특산물이나 지역 원재료를 이용한 지역 특화 제품을 적극적으로 연구·개발·생산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계가 있는 내수시장보다는 해외 식품시장 개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및 인프라 강화·확충도 절실하며, 트렌드를 반영한 고부가가치 식품 개발,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의 창업 및 유치를 위한 제반 여건 조성도 서둘러야 한다.

특히, 수출 강화를 위해 새만금 산업단지 내에 식품 가공·수출단지를 조성해 전북은 물론 국내 식품산업의 전진기지로 육성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은 관계자와 도내 식품산업 관련 지원기관 관계자들은 “전북은 지리적인 여건과 그동안 다양한 식품산업 육성 정책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지만 지역경제의 성장 동력으로서의 힘을 발휘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이에 가지고 있는 장점을 제대로 살리고, 현재 추진되는 다양한 식품산업 정책이 실효성 있게 시행될 수 있도록 미흡한 점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