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그 파란 역사와 생명력' 출간
근대국어 개념부터 우리말가꾸기 제안

보편사적 근대 관점에서 우리 어문생활을 되돌아보는 책이 출간됐다.

신작 ‘한국어, 그 파란 역사와 생명력’은 근대 한국어에 대한 깊은 논의다.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이야기는 많다.

그러나 한국어의 생동성과 그 파란만장한 역사를 체감하려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드문 바,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은 근대전환기부터 오늘날까지 한국어의 생동하는 역사를 돌아보고, 민주적이고 창의적인 공동의 자산으로 우리말을 가꾸기 위한 본격적인 토론의 장을 여는 책이다.

계간 ‘창작과비평’의 올해 여름호 ‘대화’를 위한 좌담회에서 출발한 이 책은 한국학, 한문학자인 임형택의 제안과 문학평론가이자 영문학자인 백낙청의 구상을 기초로, 각각 방언학과 국어사전학을 전공한 국어학 전문가 정승철 최경봉이 참여해 지적 교류의 결실을 맺었다.

1장은 국어학계에서 통상적으로 말하는 ‘근대국어’의 개념을 뒤로하고 왜 ‘근대 한국어’라는 개념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다룬다.

2~3장은 근대전환기부터 오늘날까지 인접국들의 압도적인 영향을 받아오면서도 그토록 오랜 시간을 꿋꿋하게 견뎌낸 한국어의 파란만장한 근현대사를 돌아본다.

4장과 ‘후기’는 한국어의 미래를 상상하기 위한 도전적인 제안들이 펼쳐진다.

책은 근대전환기 한반도의 현실에 대한 언어적 대응이라는 동태적 관점에서 한국어의 근현대사를 살핀다.

한문 전통의 오랜 영향과 그로부터의 탈피, 일제강점기 민족문화운동과 해방 후 국어순화운동, 권위주의 정권의 표준어정책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돌아보는 한편 현행 언어규범의 문제점과 남북 간 언어정책의 과제 등을 살피며 우리말을 둘러싼 첨예한 현안을 짚는다.

한국어의 파란만장한 근현대사를 다각도로 바라보면서 우리가 지킨 것과 아쉽게 놓친 것들을 알아보고, 한국어의 새로운 미래를 상상하기 위해 공동영역으로서 우리말을 풍부하게 가꿔나가기 위한 제안을 내놓는다.

책에 참여한 백낙청 교수는 창작과비평 명예편집인이자 서울대 명예교수다.

‘서양의 개벽사상가 D,H 로런스’, ‘문학이 무엇인가’ 등이 있다.

임현택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실사구시의 한국학’, ‘이조시대 서사시’,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등이 있다.

서울대 정승철 명예교수는 ‘방언의 발견’, ‘제주도 방언의 통시음운론’ 등을 펴냈다.

원광대 최경봉 국문학과 교수는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