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형 취업지원사업이 지원금이 끊기면, 60%이상 퇴사가 이뤄진다며 전라북도의 정책 수정을 요구했다.

청년 일자리 제공과 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시행 중인 사업의 취지가 취업자들의 높은 퇴사율로 무색해졌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이 사업은 기업체에 연간 최대 780만원을, 청년에게는 최대 3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청년취업 지원사업을 통해 지난 2018년에 채용된 478명 중 현재 162명만 재직 중이며, 전체 인원 중 34%만 회사에 다니고 나머지 66%는 퇴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도는 애초 도내 기업체 취업시 정규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기업과 청년에게 사업비를 각각 지원해 왔다.

하지만 청년취업지원사업의 문제점은 해마다 반복되고 있었다.

1년 동안 지원받는 인건비 지원이 종료된 이후에는 고용을 지속하는 비율이 갈수록 떨어지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 취지와도 거리가 먼 결과를 보여왔다.

인건비 종료된 이후 퇴사하는 문제점이 노출된 사업은 청년뿐만이 아니라 40~50대를 대상으로 한 신중년 취업지원사업도 마찬가지인 상황이었다.

지난 2018년 신중년 취업지원 사업을 통해 250명이 채용됐지만, 2년도 지나지 않은 현재 퇴사인원은 129명으로 채용 인원의 절반을 넘어섰다.

2019년엔 채용인원 280명 중 107명이 퇴사했고, 2020년에도 채용인원 198명 중 벌써 퇴사 인원이 57명이나 발생했다.

신중년 취업지원사업은 기업에서 신중년 채용시 1인당 인건비를 연간 840만원 지원하는 사업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이다.

이에 대해 전북도의회 나인권(김제2)의원은 “채용 이후 정규직으로 전환됐지만 전환 이후에도 퇴사하는 인원이 발생하고 있어 사업추진 취지와 맞지 않은 결과가 발생했다”면서 취업지원사업의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편, 전북형 청년취업지원 사업은 기업에서 청년들을 상시근로인원 외에 더 채용하도록 지원해 현장 실무체험 후 정규직 전환을 통해 안정된 고용창출 효과를 거양하기 위한 사업이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