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전주시 스마트시티 협약
디지털트윈 전주 행정모델 구축
공간정보포럼서 전시-시연 호평
행정데이터 국토정보플랫폼
디지털트윈 데이터분석 활용
전주시 스마트시티과 신설
국토부 스마트챌린지 공모 대응
데이터 표준화-거버넌스 시급
기관 디지털트윈 구축 사례공유
공간정보표준 발전방향 모색
시민체감 서비스 발굴 필요

디지털 트윈은 3차원의 디지털 공간에 현실공간·사물의 쌍둥이를 구현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과 예측이 가능한 기술을 의미한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국토부는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한국판 뉴딜의 주요사업인 디지털트윈의 표준화 추진방안과 사업을 공유하기 위한 포럼을 마련했다.

포럼에서는 LX가 전주시와 구축 중인 ‘디지털트윈 전주 행정모델’이 구현되기까지 전 과정을 전시ㆍ시현해 호평을 받았다.


 

▲LX-전주시 ‘디지털트윈 전주 행정모델’ 구축  

‘2020 공간정보포럼’ 전문가 토론에서는 디지털 트윈 주요 사례 중의 하나로 ‘전주시 스마트시티 구축’이 발표됐다.

이번 포럼은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한국판 뉴딜의 주요사업인 디지털트윈의 표준화 추진방안과 사업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공공·민간 전문가들은 ‘한국판 뉴딜’에 앞서 데이터 표준화 체계를 마련하고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펼쳤다.

포럼에서는 LX가 전주시와 구축 중인 ‘디지털트윈 전주 행정모델’이 구현되기까지 데이터 구축·가공·융합부터 행정서비스 모델로 구현하는 전 과정의 기술을 전시·시연해 디지털트윈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평가를 얻었다.

이와 관련 지난 1월 LX와 전주시는 미래 먹거리인 사물인터넷 등 신산업을 활용한 전주형 스마트시티를 만들기 위해 민간기업, 전문기관, 대학 등과 머리를 맞댔다.

지난 5월에는 전주시가 LX, 스마트 혁신 기업인 한컴그룹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사회변화와 산업의 디지털화 대비에 나섰다.

당시 LX는 전주시의 열섬·주차·쓰레기·빈집문제와 천만그루 나무심기 등 현안 해결을 위해 힘쓰기로 했다.

LX는 시가 수집·관리·제공하는 행정 데이터를 활용해 국토정보플랫폼의 디지털트윈 기반 데이터분석 서비스를 올 연말까지 구축, 전주시 스마트시티 서비스 업무지원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논의를 이어갔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지난해 7월 스마트시티과를 신설하고 LX와 디지털트윈 기반 민ㆍ관 협력사업을 추진했으며 ‘전주시 스마트도시 조성 및 운영 조례’ 제정과 동시에 전략수립 용역을 실시했다.

국토부 스마트챌린지 공모사업에도 대응하는 등 전주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관련 사업들을 발굴하고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발표된 디지털트윈 주요 사례는 △3D 기반 버추얼 서울 △전주시 스마트시티 구축 △디지털트윈 기반의 지하공동구 화재·재난 지원 통합플랫폼 등이다.

이날 포럼에는 LX 김정렬 사장을 비롯해 김흥진 국토부 주택토지실 실장, 박경열 공간정보산업협동조합장, 김석종 공간정보산업협회장 등이 참석했으며 디지털트윈 관련 기술과 산업계 동향에 관한 의견을 청취했다.

LX가 전주시와 구축 중인 ‘디지털트윈 실증모델’에 대해 김정렬 LX 사장은 “‘디지털트윈’으로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민간과 공공의 상생·협력 채널이 마련됐다”며 “LX는 전주시와 구축 중인 ‘디지털트윈 실증모델’을 보완·확대해 ‘한국형뉴딜 모델’로 안착시키고 이를 전국 자치단체로 확산시키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트윈’ 활성화... 데이터 표준화 시급 

‘디지털트윈’을 활성화하려면 데이터 표준화와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국토교통부가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마련한 ‘2020 공간정보포럼’ 전문가 포럼에서 제기됐다.

이번 포럼에서 산·학·연·관 전문가들은 각 기관의 디지털트윈 구축 사례를 공유하고 토론을 통해 공간정보표준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디지털트윈의 의미는 3차원의 디지털 공간에 현실공간·사물의 쌍둥이를 구현,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예측이 가능한 기술을 말한다.

‘2020 공간정보포럼’ 전문가 토론에서 공공·민간 전문가들은 ‘한국판 뉴딜’에 앞서 데이터 표준화 체계를 마련하고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박소아 인공지능·빅데이터 전문기업 바이브컴퍼니 센터장은 “최근에 정부 다부처가 추진하는 지하공동구 연구사업에 참여하면서 첫 질문이 ‘데이터 표준을 무엇으로 할까’였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데이터 표준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뤄지지 않는 게 현실”이라며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혜주 전 KT 빅데이터 사업지원단 상무는 “정부가 시범사업만 하다가 끝내는 경우가 너무 많다”며 “작은 규모라도 디지털트윈을 실제로 적용해 그것을 통해 어떤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지 작은 성공 케이스를 만들어내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정민 한컴라이프케어 이사는 “디지털트윈이 지속 가능한 모델이 되려면 다양한 비즈니스 생태계를 아우르고 가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혜주 전 상무도 정부의 지속 가능한 과감한 투자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 센터장은 “대한민국은 프로세스 행정이라 룰을 정하면 업계는 따라갈 수밖에 없다”면서 “한 번의 시범사업과 한 번의 기술검증에서 끝내지 말고 지속 가능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모아내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며 그것이 지속 가능한 상생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국토정보공사 김택진 공간정보본부장은 “독일의 철학자 칼 야스퍼스가 13~14세기 유럽의 과학기술이 발전하게 된 이유를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이종간 융합을 시도했다는 데서 찾았다”며 “디지털트윈도 서로 협업할 수 있는 기민한 거버넌스를 만들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발굴하여 명확한 성공 모델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택진 본부장은 “신성장동력인 디지털트윈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상호 운용성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 표준화가 필수”라며 “올바른 표준화를 이끌어 디지털트윈 국토의 성공적인 추진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와 표준개발협력기관은 지난 2017년부터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해 표준 제·개정 47종 개발, 교육 및 홍보, 통합지원 시스템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