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전북 탄소기업
연구기관-규제자유특구 등
육성기반에도 수요제품연계
제한적··· 시장다각화 필요"

전북의 신성장동력 중 하나인 탄소섬유산업이 도약하기 위해 갖춰진 여건을 충분히 활용, 전방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북은 탄소섬유산업의 출발점으로 타 지역보다 여건이 잘 갖춰져 있고 정부의 지원도 확대되고 있지만 최종 수요제품과 연계 미흡, 중견기업의 부재 등이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은행 전북본부 이응원 과장, 김성요·남기훈 조사역은 이 같은 의견을 담은 ‘전북지역 신성장동력으로서의 탄소섬유산업 현황과 발전과제’를 발표했다.

이는 도내 제조업의 부가가치율이 2018년 기준 31.5%로 전국 평균(35.9%)을 하회하는 가운데 전북도에서 탄소섬유를 중심으로 탄소산업을 지역 신성장동력의 하나로 적극 육성함에 따라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해 시사점과 육성전략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탄소섬유는 ‘미래 산업의 쌀’로 불릴 만큼 활용처가 다양해 향후 철을 대체할 소재로 평가받는 가운데 주요 국가들이 전략물자로 관리하는 만큼 독자적인 기술개발이 중요하다.

1970년대 태동한 세계 탄소섬유산업 시장은 2010년 이후 응용분야 확대 등에 따른 수요 증가와 이를 선점하기 위한 선도기업들의 적극적인 증설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가별로는 일본, 미국, 유럽의 주요 업체가 탄소섬유 공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중국 업체가 이를 추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탄소섬유산업의 경우 2006년 전주시의 탄소섬유 생산기반 구축사업으로부터 시작, 현재 전북은 효성첨단소재, 경북은 도레이첨단소재 중심으로 발전을 이어가고 있다.

더욱이 지자체에서 시작된 탄소섬유산업 육성은 국회와 정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지원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전북은 원료조달 및 섬유 생산 측면에서 안정적인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으며 효성첨단소재가 중성능 탄소섬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 탄소섬유산업 관련 연구기관들의 집적화 돼 있다.

더욱이 정책적으로, 국가산업단지(전주시), 규제자유특구(전라북도) 지정으로 기존 인프라와 연계해 기업유치·육성의 토대가 마련됐으며, 탄소소재법 개정으로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산업육성 기관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으로 지정됐다.

이는 결국, 산업육성 주체가 일원화되고 기능이 확대되는 등 탄소섬유산업 육성이 가속화되는 기반을 갖췄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원료조달 및 생산·연구·정책 여건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종 수요제품으로의 연계는 제한적이며, 고성능 탄소섬유의 생산능력 및 중견기업의 부재 등이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최종 수요제품의 설계단계부터 전방산업 기업과 협업해 국내 탄소섬유 수요시장을 확보하는 동시에 탄소섬유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시장 확대 및 다각화를 꾀해야 한다고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제안했다.

이어,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를 중점으로 조성되는 탄소산업 클러스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홍보해 중견기업을 유치·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탄소섬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앞서 지적된 단점을 극복, 특히 이는 기술력이 가장 핵심요소인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을 바탕으로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며 “동시에 자동차, 항공, 조선 풍력산업 산업에 대한 복합재 제조기반을 강화해 안정적인 탄소섬유산업 밸류체인 구축을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