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가나안요양원 발생때
비확진자 전담병원에 옮겨
순창요양병원은 집단 격리
16→62명 확산시켰나 비난
1인1실등 안지켜 교차감염

전북도 방역당국의 일관성 없는 조치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김제 가나안요양원 집단발병 당시에는 비확진자까지도 모두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이송하더니, 순창 요양병원 사례에서는 비확진자를 제6병동으로 이동시킨 후 병동 폐쇄를 강행해 내부감염을 확산시킨 계기를 제공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지난 18일 순창요양병원의 첫 코로나 감염자는 16명에 불과했다.

순창요양병원 종사자 2명과 입원환자 11명, 가족과 지인 3명 등이었다.

하지만 9일 만인 27일 현재 62명까지 확대됐고, 모두 6병동 내에서만 70%가 넘게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집단격리로 인한 내부감염이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전북도는 지난 15일 발생한 김제 가나안요양원 집단감염 사태 때는, 격리 된 건물 안에서 확진자들과 비확진자들이 생활하면 연쇄·교차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며 120여명이 넘은 환자와 종사자들을 모두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이송시켰다.

당시 비확진자까지도 전담병원으로 이송하는 부분에 지적도 있었지만, 전북도는 재검사에서 확진판정이 높고 고위험 노약자이기 때문에 자가 격리가 어렵다며 병원 이송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 요양원은 요양병원과 달리 의사나 간호사 등 전문 의료 인력이 없다며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는 병원으로 옮기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병원내 코호트 조치는 비 확진자들에 대한 인권문제와 교차감염 우려로 비윤리적 조치라는 비난을 받아왔던 만큼, 전북도 방역당국의 파격적인 조치는 일정부분 여론의 공감을 이끌어 냈다.

그러나 순창요양병원 집단감염 사례를 볼 때, 이 같은 배려는 없었고 병동 폐쇄만 강행시킨 채 ‘1인1실’이라는 공간분리 원칙도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동이 가능한 환자에게는 1인 1실을 제공했지만, 이동이 가능하지 못한 환자는 간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6인실에 3명’ 또는 ‘4인실 2명’씩 배치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재검에서 확진판정 위험이 높은 이들과 비확진자들이 한 공간에서 교차감염을 일으킬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된 것이다.

요양원에 비해 요양병원이 의료시설이나 의료진을 갖추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환자들 입장에서는 감염전문 병원보다 시설이 열악한 요양병원을 확진자와 비확진자가 공존하게 코호트 격리 시킨다는 것은 사실상 기저질환의 노인들을 사지로 몰아넣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됐다.

3일 간격을 두고 발생한 김제가나안요양원과 순창요양병원 사태를 두고 전혀 다른 방식을 적용한 전라북도 방역 정책에 비난이 일고 있는 이유다.

따라서 이제라도 ‘요양시설 인력 증원 조치’와 현장에 ‘전북도 방역관리자 파견으로 관리감도 강화’, ‘요양시설 사고메뉴얼 구축’ 등에 전북도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지역의 한 전문가도 “이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의 경우 자가격리가 어렵다면 병동에서 공간분리만 해줬어도 이 정도까지 확산은 안됐을 것”이라며 “병실이 부족했다면 칸막이라도 설치하는 등 차선책이 선행됐어야 했지만, 이제라도 후속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