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지방소멸까지 부른다저출산, 지방소멸까지 부른다.

저출산이 시골학교 폐지는 물론이거니와 지방소멸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그 악순환 고리를 끊어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상황에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지만, 뚜렷한 대안이 없어 전북에서도 지방소멸 현실화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는 보도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10일 박용근(장수) 전북도의회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기인한다.

전북은 2018년 처음으로 1만 명의 순인구 유출을 기록한 이래 지난 2019년까지 2만6천여 명의 인구가 빠져나간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이는 장수군, 임실군과 같이 인구수가 적은 군이 하나 없어진 것과 같다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출산율도 지난 1981년 출생아 수가 4만7천여 명을 기록해 정점에 도달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가 지속됐으며 2019년 약 0.97명으로 나타나 경기도 0.94명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이마저도 경기도의 경우 낮은 출생률이 순인구유입으로 상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북은 그 어느 자치단체보다 인구유출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학교 폐교수준만 보더라도 전북은 이미 지난해 5월 기준 325개 학교가 문을 닫았다.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시·도별 폐교보유 현황에 따르면 서울은 3개에 불과하지만, 전북은 320여개에 달한다고 한다.

오는 2023년까지 신설이 예정된 학교 수도 수도권에 치우쳐져 있다.

같은 기간 시·도교육청 학교 급별 현황을 보면 서울 6개교, 인천 15개교, 경기 56개교로 전체 113개교 중 77개교(68.

1%)로 나타난 반면, 전북은 2개 학교만 신설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를 놓고 박 의원은 전북도 집행부에 대해 쓴 소리를 아끼지 않고 있다.

매년 신년사에서 각종 위기 종식과 전북의 대도약을 도민에게 약속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매년 순인구유출이 매우 높고 출산율은 매우 적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방소멸 1번지’라는 불명예도 얻었다고 전했다.

사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문제는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이미 수년 전부터 행정안전부는 전국 228개 시군구와 3463개 읍면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소멸위험지수’를 집계하고 발표해 왔다.

이는 전북에 국한하지 않은 전국적 사안으로 지역의 균형적 발전정책이 물리적 인프라(하드웨어) 중심의 혁신뿐 아니라, 교육,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소프트웨어)의 혁신으로까지 이어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우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아이를 많이 나아 달라 출산을 장려하는 것 뿐 아니라 저출산 현실에 맞는 행정구역의 대변혁을 꾀해야하는 상황도 고려해야할지 모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