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장기화 거래 뚝끊겨
작년초보다 5.1%p 높아져
임대료못내고 임차 못구해
한집걸러 임대문의 내걸려

‘코로나19’ 1년의 경제난이 전북지역 상업용 상가 줄폐업으로 이어져 전국 최고의 공실률이라는 오명을 덧씌웠다.

상업용 상가 가운데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전북 전 지역을 비롯해 군산과 익산역 상가 등을 중심으로 높아질 대로 높아졌고 자영업자들의 삶은 더욱 피폐해졌다.

특히 전북의 상업용 부동산은 일부 신도시 지역의 주택 부동산 급등세와 다르게 고스란히 직격탄을 맞아야 했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전주를 비롯한 전북지역 주요 상가거리에는 ‘임대 문의’라는 안내문이 곳곳에 나붙어있다.

한 집 걸러 또 한 집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빈 상가가 늘어났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호가만 올려놓고 숨어버린 일부 ‘가면 쓴’ 주택 부동산 업자들의 고가 매물을 제외하면 공실로 남아 있는 상업용 상가 거래는 끊겨버린지 오래다.

상가 부동산 시장이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전주지역 구도심과 신도시의 공실 상가들은 구축, 신축 할 것 없이 자물쇠를 모조리 잠가 버린 상태다.

상가 주인들은 저렴한 임대료에 임대기간 보장 등 유리한 조건을 내세워도 임차인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렵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음식점을 폐업하고 몇 달을 쉬고 있는 한 상인은 “코로나19가 오기 전에는 외식문화 덕택에 그런대로 장사가 잘됐는데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점점 매출이 곤두박질쳤다”며 “어떻게든 버텨보려고 안간힘을 써 봤지만 임대료도 못 내는 밑 까는 장사를 할 수 없어 문을 닫고 말았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북지역 소규모 상가(2층 이하, 연면적 330㎡ 이하) 공실률은 12.2%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가 본격화되던 지난해 연초(2020년 3월 31일 기준 1분기) 대비 2.1%p 상승한 것이며 전국 평균치 7.1%보다는 5.1%나 높은 수치다.

전북지역에서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군산 상권으로 26.6%을 기록했고, 익산역 상권이 15.4%로 나타났다.

공실률이 높은 군산 상권과 익산역 상권은 공히 코로나19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군산 상권은 지역기반산업의 침체가, 익산역 상권에서는 구도심 상권의 쇠퇴가 큰 영향을 끼쳤다.

전북지역의 중대형 상가(3층 이상 또는 면적 330㎡ 초과) 공실률은 17.0%로 경북 19.0%, 세종 18.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고 충북 17.0%와는 동률을 기록했다.

상가 공실률의 상승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난이 가장 크게 작용했지만 인구감소 현상도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자치단체의 인구유입 등 특단의 대책이 나와줘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시장 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모든 상업용 부동산 유형에서 떨어졌다.

공실이 늘고 매출이 줄면서 소규모, 중대형 상가, 오피스의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각각 -0.22%p, -0.29%p, -0.34%p 하락했다.

다만, 상업용 부동산 가치 상승에 따른 투자 성과를 나타내는 투자수익률은 떨어지지 않았다.

지난해 4분기 중대형 상가 투자수익률은 1.16%로 전분기 대비 0.22%p, 소규모 상가는 0.12%로 전분기 대비 0.17%p, 오피스는 1.42%로 전분기 대비 0.54%p, 집합 상가는 1.11%로 전분기 대비 0.03%로 상승했다.

이는 저금리와 시중 유동성 증가, 주택시장 규제 강화로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투자자금이 유입되면서 자산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주지역의 한 공인중개사는 “지난해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가 공실률 증가로 이어진 것을 가장 큰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며 “올해도 상당기간 공실률 증가세가 잦아들지는 않을 것 같다”는 전망을 내놨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