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추진 중인 새만금 수상 태양광 입찰과 관련, 잡음이 일고 있다.

새만금 재생에너지 민관 협의회 민간위원들이 최근 마감한 한수원 자회사 ‘새만금 솔라파워’의 300MW급 수상 태양광 공사 입찰에 단 두 업체만 참여해 특정 업체 밀어주기 의혹이 있다며 입찰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민간위원들은 이들 업체가 환경오염 우려가 큰 섬유강화플라스틱 FRP 기자재를 사용하는 데다 지역 업체 참여율도 18%로 당초 계획 40%에 크게 미달했다고 주장했다.

이번 새만금 수상태양광 입찰에 참여한 두 곳 가운데 떨어진 나머지 한곳은 자격조건 여부도 의심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현대글로벌(주)에 특혜로 사업성이 불투명한데다 사업시행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 불공정 입찰이라는 설명이다.

한수원은 300MW 전체를 대상으로 입찰 공고를 냈지만, 실상은 100MW 분량에 대해 ‘제3의 계약자’로 표현된 현대글로벌(주)에게 일방적으로 배정하는 불공정 입찰을 했다는 게 민간위원들의 주장이다.

위원들은 누가 책임시공과 품질보증의 주체인지를 둘러싼 논란과 분쟁이 불거질 것은 뻔한 일이라며 결국 현대글로벌(주)에 대한 무리한 특혜가 전체 사업을 흔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협의회는 또 총 공사비 3천400억 원 중 지역 업체 시공 참여 몫은 600억 원밖에 되지 않았다고도 성토했다.

실제로 이번 한수원 입찰공고 마감결과 지역 업체 참여 수는 불과 4~5개사 밖에 되지 않아 민관협의회의 합의 사항이었던 지역 업체 참여비율 40%가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총 사업비 3천400억 원 중 지역 업체 시공참여 몫은 600억 원에 불과, 지역 업체 참여율이 18%밖에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다.

환경오염 문제도 제기됐다.

자재로 FRP와 발포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FRP는 재활용이 불가해 오로지 소각과 매립을 통해 폐기할 수밖에 없다.

민간위원들은 새만금을 FRP 구조체로 뒤덮을 경우 20년 후 엄청난 양의 산업폐기물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패널과 지지대를 물 위에 띄우는 부력체에 발포플라스틱을 사용해 쓰도록 정한 충진형 기술규격도 문제로 지적됐다.

민간위원들은 문제제기는 단순히 사업을 흔들기 위한 것도, 그럴 이유도 없다.

지금이라도 한수원은 물론 새만금개발청, 전북도 등 관련 기관이 나서 이번 입찰과정에 어떤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또 FRP와 발포플라스틱 사용, 그리고 충진형 기술규격에 대한 문제는 없는지 세밀히 살펴 제기된 의혹들을 일소해 나가야할 것이란 생각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