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서울. 경기도 수도권, 부산.울산.경남 동남권, 세종시와 충청권, 대구.경북, 광주.전남 등 각 특별시와 광역시 광역대중교통망 구축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그 이유는 메가시티 구성을 통해 생활·경제·문화 공동체로 도약하기 위한 목표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1시간 내 생활권을 가능케 하는 광역 대중교통망 확충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대도시간 행정통합이나 메가시티와 같은 구상은 당장 실현될 수는 없다.

그 실현을 위해서는 메가시티의 경우는 '특별지방자치단체 운영'의 세부 내용을 담은 '지방자치법 개정'이 필요하고, 상이한 행정구역간 행정통합은 주민들과 의회의 의견을 수렴한 후, 특별법 제정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역별로 메가시티로 가기 위한 논의와 준비가 치열하다.

아쉽게도 광역시 없는 전라북도의 메가시티 구성은 한계가 있다.

또한 광역교통시설 건설 및 개량에 필요한 재원을 국고를 통해 보조하도록 한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대도시권”이란 「지방자치법」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특별시·광역시 및 그 도시와 같은 교통생활권에 있는 지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으로 한정하고 있어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국고지원을 받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전라북도내 각 시군에서도 지역버스간 환승할인, 버스전용차로 간선급행버스 운행과 같은 형태의 이동 편리성과 신속성, 경제성을 높일 광역교통체계에 대한 요구가 큰 것도 사실이지만 상이한 이해관계와 주변 반발, 노선·운행 축소 따른 보조금 부담 등의 과제로 인해 시.군 간 협의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권역별 메가시티 전략과 생존 경쟁에서 전라북도가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이 문제는 전라북도가 책임지고 전라북도 전체 시·군을 1시간 내 이동가능한 통합생활권으로 묶는 광역대중교통망 구축에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

전라북도가 시.군과 경쟁해서 우위에 서려고 한다거나 시.군간 책임으로 떠넘길 때가 아니다.

전라북도가 먼저 나서서 도와주고 해결해야 한다.

전라북도 전역의 교통문제를 광역적(廣域的)인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용역도 수행하고,“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대도시권에 전주가 포함되도록 법개정 운동에도 나서고, 광역철도, 광역도로, 광역 BRT 간선급행버스 체계 도입, 광역 환승센터 설치, 광역철도 역(驛)의 인근 주차장 건설,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 화물자동차 휴게소 등 광역 교통체계를 구축하고 광역교통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노력의 책임 있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

이제는 제발 전라북도가 14개 시.군과 별개의 또 다른 자치단체로 경쟁하려 하지 말고, 시.군의 성장과 발전이 곧 전북의 발전이라는 사명으로 먼저 나서길 바란다.

/김진옥 전주시의회 의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