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공기관 제2차 이전계획 발표가 늦어지면서 전북혁신도시로 과연 어떤 기관이 올지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필자는 이에 대한 답이 이미 나와 있다고 본다. 첫째 답은 문재인 대통령이 전북혁신도시를 금융중심지로 지정하고 금융중심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공약한 것이다. 둘째 답은 정부가 이를 위해 2020년 7월 ‘자산운용중심 금융도시 조성’ 과제로 선정한 것이다. 이는 정부가 금융중심지 지정의 당위성을 인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셋째 답은 부산 출신 야당의원들도 전북혁신도시를 금융중심지로 지정하는 데 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라북도는 한국투자공사, 기업은행,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식품안전정보원 등이 이전하기를 바라고 있다. 야당인 국민의힘 정운천 국회의원은 한국투자공사를 필두로 농협은행, 산업은행, 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등의 이전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여기서 짚어둘 일은 이제 이전대상 기관들을 확정하고 전라북도의 역량을 결집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집중과 선택이 필수적이다.

먼저 한국투자공사(KIC)는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와 함께 전북혁신도시에서 일을 하며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투자공사는 운용자산이 240조원, 기금운용본부는 910조원에 이른다. 기금운용본부는 자산배분 정책상 기금의 절반 정도를 해외에서 운용하도록 돼 있다. 두 기관이 전북혁신도시에 모여서 공동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할 당위성이 인정된다. 두 기관은 지난 5월 미국 물류펀드에 6억 달러를 공동으로 투자한 바 있다. 해외사무소도 뉴욕, 런던, 싱가포르에 동반으로 진출하고 있어 협력가능성이 높다. 해외 유수의 운용사들도 전북혁신도시를 필수 방문지로 찾을 것이다. 규모의 경제와 집중의 효과이다. 

다음으로 농협은행과 산업은행, 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은 전체 자본금이 39조원이고, 전체 직원은 3만 8백명, 자산총액은 천 97조원에 이른다. 당연히 전북혁신도시가 자산운용중심 금융도시로 발전하는 데 필수요건이 된다. 특히 농협은행과 농협은 농촌진흥청 등 농촌 관련기관이 집적돼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래서 농생명 자산운용중심의 국제금융도시로 도약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셋째, 정운천 국회의원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전북혁신도시의 금융생태계 조성이 가시적으로 이해된다. 국내 자산운용사를 보면, 주식 운용 72개 사를 비롯해 채권 60개, 대체투자 104개 등 236개 사에 이르고 있다. 해외 운용사는 주식 50개 사, 채권 79개, 대체투자 170개 등 299개 사나 된다. 전북혁신도시에 둥지를 튼 자산운용사 등이 10개 정도인데 앞으로 훨씬 더 많은 운용사들이 이전할 것이다. 자산운용사들은 자산과 금융 중심의 전북혁신도시에서 활동을 함으로써 많은 이익을 창출하고 더욱 더 번창할 것이다.

역대 정부는 국가의 균형발전을 이룩하기 위해 혁신도시를 건설했다. 전북혁신도시는 농생명 자산운용 중심의 금융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같은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갖고 실천해야 한다. 정치적 형세의 유·불리를 따지고 그에 굴복하는 것은 정부가 취할 태도가 아니다. 전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금융전문가를 육성하고, 교육과 소비·문화 등의 거주요건을 갖춰야 한다. 전라북도는 이에 대해 스스로 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한 여건 조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과 함께 자산운용사 등을 유치하거나 테크비즈센터를 완공하고, 금융센터 건설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그래도 금융중심지 지정을 미룬다고 한다면 금융위원회가 대통령공약을 위반하고 정부의 중대 정책에도 반기를 드는 결과를 빚게 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2019년 4월 금융중심지 보류 결정을 내리던 때와는 다르게 지정여건이 크게 성숙됐다고 보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보류 당시 지적했던 특화금융중심지 모델이 자산운용 중심의 금융도시 조성으로 확정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중요정책으로 이 같이 결정하고 금융위원회의 금융중심지 지정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공공기관 제2차 이전계획도 금융중심지 지정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한국투자공사 등의 집적화를 촉진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이춘구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