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한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고 성관계를 갖는 경우 대게는 1년 이내에 임신이 될 확률이 80~90%.

1년이 넘도록 임신이 되지 않으면 산부인과에서 불임, 또는 난임 검사를 받아 보는 게 좋다.

불임은 임신을 할 수 없는 정확한 이유가 있어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이고, 난임은 생물학적으로 임신이 가능한 상태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현대사회로 접어들며 이런 난임환자들의 수가 늘고 있고, 이는 저출산의 한 요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초저출생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난임정책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 체계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는 전북연구원이 최근 이슈브리핑을 통해 제기했다.

연구원은 그간 난임 지원 정책이 시술비 지원으로 접근했다며 난임 예방을 위한 남녀의 생식건강 증진으로 정책 패러다임이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생식건강이란 생식기관이나 기능에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말한다.

전북연구원은 또 난임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과 경제적 부담, 신체적 어려움 등을 관리하고 지원하기 위한 전북형 난임지원 토털 서비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북에선 최근 10여 년간 여성 난임환자는 줄어드는 반면에 남성 난임환자는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난임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지난해 기준 22만8382명으로 2010년 대비 24.6% 증가했다.

난임 인구의 성별·연령별 분포를 보면 2010년 대비 2020년 남성 난임환자 수는 127.%가 증가한 반면 여성은 0.6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남녀 모두 30~40대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 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초혼연령 및 산모의 초산연령 상승 등 인구학적 요인이 주된 것으로 분석됐다고 한다.

만혼화 추세가 지속되는 한 난임 환자는 계속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난임 시술에 의한 건강보험적용, 난임시술 연령제한 폐지, 사실혼 부부까지 지원이 확대되는 등 난임지원 정책이 강화되면서 난임 환자가 증가한 것도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부부 7쌍 중 1쌍이 난임을 겪고 있고, 신생아 10명 중 1명은 난임 시술로 태어나고 있지만 난임가구를 위한 통합적 관점의 정책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난임의 비율은 높아만 가고 있고, 이는 저출산의 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초저출생에 대응하기 위해 지금이라도 난임정책에 대한 인식의 발 빠른 전환이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