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으로 바라본 재난의 현대사
사회 문제의식-감수성 재성찰

지식공동체지지배배는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역사 속 타자들’을 발간했다.

이 책은 과거 한국 사회가 통과해 온 재난 현장을 대중 예술의 프리즘으로 통찰하는 연구로, 최근 펜데믹 상황에서 문화 예술 관련 연구를 확장하여 ‘코로나19’ 이후 사회에 대한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취지로 발간됐다.

책은 재난의 현대사라 할 만한 한국 역사 속에서 재난이 만들고 역사가 잊은 존재들을 시, 소설, 희곡, 영화, 만화 등 다양한 장르의 범주를 넘나들며 문학과 대중서사 속 재현물을 통해 호명하고, 연구자의 해석과 담론을 통해 살피고 있다.

이 연구 작업은 한국의 근현대사 속 재난을 소재로 다룬 문학, 영화, 만화 작품, 이론서, 신문 기사 등의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재난 이후 우리 사회에 새롭게 장착된 문제의식과 감수성을 중심으로 다시 읽어보자는 것에서 출발한다.

재난을 소재로 한 문학 텍스트를 선별해, 시, 소설, 희곡, 영화, 만화 등 문학과 대중서사 예술 매체에서 재현된 ‘배제되고 잊힌 존재들’을 발견하고, 각 존재별 재현 양상과 사회적 의미를 진단하여, 그동안 지배 문법에 침윤된 문학 대중 서사에서 왜곡되고 비민주적인 상상력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 1차적인 작업이 된다.

그래서 우리는 재난문학에서 비어 있는 역사에 주목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주체와 가치, 양식들이 문학 바깥에 배치되는지를 예술적 해석을 통해 규명한다.

또한 재난 ‘이후’ 사회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과 이 시대 필요한 공동체적 윤리의식을 통해 그동안 우리 사회를 지배해 온 원리와 질서가 남성 중심적이었다는 사실과는 별도로 세대와 성별을 불문하고 우리가 함께해야 할 일임을 비판적으로 담론화한다.

오늘날 배제되고 비어 있는 역사적 존재들에 대해 그나마 우리 사회의 유력한 담론 양식으로서의 위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은 그동안 이러한 담론이 뿌리내릴 수 없는 척박한 토양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연구와 실천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이후 연구물들도 우리가 함께 형성하고 도출해낸 공동의 자산이 되리라 믿는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는 문학과 대중예술 연구자집단의 개별 역량을 강화하고, 대중과의 소통을 높이기 위해 지역 사회의 자문을 받아 해석의 폭을 넓히고 깊이를 더하고, 분석된 자료를 통해 재난 사회의 풍경과 감성을 사유하고 성찰할 수 있는 인문학 콘텐츠를 개발하고, 재난 이후 공동체 사회를 향한 문학과 대중서사의 역할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재난은 우리로 하여금 그동안 우리 사회의 지배 질서에 대해 근본적 반성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단선적인 기준에 의해 기록된 지배 담론의 불균형성이 낱낱이 밝혀지지만 일상은 여전히 견고하게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래도 현대사회를 규정할 굵직한 키워드로 다양성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재난의 시대를 통과하면서 그동안 역사상 엄연히 존재했으나 존재하지 않은, 탈역사화 되고 탈맥락화된 역사 속의 타자들에 대한 역사적 호명 작업은 어느 한 개인의 탁월한 성과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은 이 연구 작업을 하면서 얻게 된 망외의 소득이다.

각각의 장르에서 재현된 역사 속 타자들에 대한 각기 다른 연구 분야를 잇고 그 영역을 확장하고, 그리하여 대중과 함께 분유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현재진행형이며 앞으로 좀더 내실 있는 연구 성과물이 되어 비어 있는 역사를 채워 넣고, 사회의 의식 변화를 추동하는 계기로서의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