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문명학硏 '농업기술과 한국문명' 발간
농업기술-과학 문명 연계 연구서 7장 구성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의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일환으로 ‘농업기술과 한국문명’이 발간됐다.

총서는 첨성대부터 반도체에 이르는 모든 시기에 걸쳐 다양한 한국 과학문명의 모든 측면을 연구서로 발간하고 있다.

현재는 22권이 출간됐다.

이번에는 ‘농업기술과 한국문명’이란 주제로 21권 째 발간됐다.

이를 통해 농업기술사가 단순히 기술의 역사적 서술이 아닌 과학문명사와 연계된 농업과 문명의 접합적인 영역을 강조하고 이의 구체적인 성과로서 연구서를 발간하게 된 것이다.

책은 농업기술을 한국문명과 연관 지어 살펴보는 한국농업문명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농업기술문명’의 실제 모습에 대한 구조적 접근을 최초로 시도하여 그 성과를 정리했으며, ‘농업기술문명’의 가시적 실체에 대한 개념적 정리를 바탕으로 ‘한국농업기술문명’의 일단을 살펴봄으로써 농업사가 단순한 기술사가 아닌 ‘농업기술문명사’라는 관점을 도입했다.

이런 의미에서 책은 농업기술을 중심으로 한국문명을 해명하는 연구서로서 한편으로는 통사를 지향하여 ‘농업기술로 본 한국문명사’,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농업 기술문명사’라는 영역으로서 농업, 기술 등에 특화되는 지향점도 가지고 있다.

책은 선사시대 농경의 시작부터 현대 농업기술까지 농업기술의 역사적 변화와 발달을 중심으로 한국농업문명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하고 있다.

서론과 결론을 제외하고 역사적 변화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장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농경이 처음으로 시작되고 점차 보급 확산되어 나간 과정을 정리했다.

제2장은 농경에서 농업으로 사회적 지위가 바뀌면서 사회적 생산의 지배적인 부분을 담당하게 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제3장은 고려의 중농정책과 농경의례의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지며 양전제의 변천을 정리하여 중세 농업체제의 변화와 변동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본다.

또한 고려 말 변동양상으로 종합화되어 나타난 농법의 전환에 주목하여 이것의 역사적 의의를 종합 정리했다 제4장은 조선 전기 연작법 체제와 논밭의 작물재배법을 정리하여 ‘농사직설’에 제시된 농법에 대해 파악한다.

국가와 개인의 농서편찬과정을 살펴보고 국가적인 농업정책의 흐름을 정리하고 농지개간과 수리시설 축조, 농업경영과 농촌경제의 변화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제5장은 조선 후기 벼와 잡곡 재배기술의 발달과 외래 작물과 상품작물의 재배를 정리한 뒤 농기구의 개량과 수리시설의 발달에 대해 파악한다.

제6장은 일제시기 농업생산구조의 변화를 통해 조선시대의 농업기술체계가 일제시기에 들어와 어떤 변화를 보였는가를 알아본다.

7장은 해방 후 농업 농촌과 농업기술의 상황을 살펴보고 농업기술의 신기원을 이룬 녹색혁명과 식량 자급에 대해 검토한다.

이어 농업생산과 농업기술의 발전에 대해 살펴본 뒤, 농업기술의 변화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농업기술을 전망한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