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가 출범했지만, 지방의회가 더불어민주당 독주 체재로 구성되며, 과연 집행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가 제대로 이루어질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본보는 이 같은 내용을 1면 기사로 비중있게 다루며 일동독주로 흐르는 지방의회에 해법은 없는지 모색했다.

그도 그럴 것이 민주당의 의석 독점은 선거를 거듭할수록 심각해 지는 상황.

먼저, 도의회의 경우 36곳의 지역구 가운데 진보당이 당선된 순창군을 제외하고 35곳이 민주당이 차지했다.

비례대표 2석을 더해 전체 의석 40석 중 무려 37석을 석권했다.

민주당이 사실상 싹쓸이한 반면, 전북에서 제1야당이었던 정의당은 단 한 석도 차지하지 못해 체면을 구겼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은 전체 39석 중 36석을 차지했었다.

이 같은 ‘1당 체제’의 부활에 지역 정가는 벌써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수십 년간 민주당계의 일당 독점 구조가 고착화하면서 ‘집행부 견제와 감시’라는 본연의 역할수행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이번에 입성한 진보당 오은미, 국민의힘 이수진, 정의당 오현숙 등 당선인 3명으로는 원내 교섭단체도 구성할 수 없어 원내 경쟁에서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당장 전반기 도의장을 비롯해 상임위원장 자리를 놓고도 민주당은 싹쓸이 작업이 한창이다.

하지만 일당 체제가 또다시 재현되면서 주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

단체장들까지 같은 당 소속이 대부분이니 견제와 균형이 이뤄지기 힘들다.

지방의회가 자칫 ‘거수기’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나.

때문에 국민의힘과 진보당, 정의당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선거 때면 가장 큰 힘을 발휘하고, 거대 정치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광역·기초단체장 조직이다.

같은 당 소속인 데다 알게 모르게 정치적으로 얽히고설켜 집행부 견제가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어떤 일이 양쪽 모두에게 이롭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 있다.

“누이 좋고 매부 좋다”는 말인즉, 누이에게 좋은 일이면 누이의 남편인 매부에게도 좋다는 말뜻이다.

같은 당 소속끼리 적당히 견제하고 감시하는 ‘적당주의’가 지방의회에 뿌리내리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지방의원들은 도민의 선택에 부응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면 4년 뒤 그 책임이 부메랑이 돼서 돌아옴을 잊지 말아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