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세계자연유산 보전본부 건립 대상지로 전남 신안군이 선정되며 ‘전북의 호남 예속화’ 논란이 또 다시 불거지고 있다.

‘전남 밀어주기 의혹’도 불거지고 있다.

지난 8월 해양수산부가 갯벌 세계자연유산 보전본부 건립지 공모사업의 평가지표를 변경했을 당시 이런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의혹이 현실화된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하고 있는 상황.

해양수산부는 지난 27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한국의 갯벌’을 통합 관리할 ‘갯벌 세계자연유산 보전본부’ 대상지로 신안군을 최종 선정했다.

전북도와 고창군은 지리적으로 서해안 갯벌의 중간에 위치했다는 점 등을 들어 유치 노력을 펼쳐왔지만 최종 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문제는 해수부가 공모사업을 발표했던 당시부터, 세계자연유산 등재 노력과 기여도, 부지 면적 축소 등 새로운 평가지표 항목을 추가하며 논란이 일었다.

등재 노력과 기여도는 그 동안 전남이 주장해왔던 논리다.

부지 면적을 축소하고 배점을 하향 조정한 것 역시 부지를 기준 이상 확보해둔 고창을 견제하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도 공공연하게 거론됐다.

이 때문에 전북도의원들은 공모전에 대한 공정·투명성 담볼ㄹ 해수부에 공개 촉구해 왔다.

공정성을 훼손하는 평가, 변별력 없는 평가 항목을 추가하는 식으로 당초 취지를 훼손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갯벌본부는 그 설립 취지에 맞도록, 연계 프로그램이 우수한 지역에 설립해야만 하고 국가적 사업인 만큼 지역균형발전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나 이런 전북의 논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특히 고창을 비롯, 전북은 서남해안 갯벌 전체를 관리하는데 효율성·확장성·교통편의성을 두루 갖춘 최적지여서 경쟁력에서 앞서고 있다는 분석이 많았던 터라 허탈감은 더욱 큰 상황.

정부의 호남 속 전북 소외론이 반복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앞서 2009년 세계김치연구소 후보지역 선정과 관련해서도 농식품부는 인프라 부문 배점에 환경영향평가와 교통영향분석 등을 포함시켜 광주시를 염두에 둔 기준이었단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결국 김치연구소는 정부의 의도적 밀어주기에 힘입어 광주시에 들어섰다.

이명박 정부시절 추진된 5+2 호남광역경제권에서 선도산업 지원단 사무소 설치도 광주로 선정되며 전북이 광주·전남에 주도권을 내준바 있다.

언제까지 정부의 호남 속 전북 소외정책을 묵도해야할 것인지.

전북 정치권은 이런 사안들에 대해 대정부 질의 등 공식적인 항의에 나서야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