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 유공자나 유족 가운데 생계가 곤란한 계층이 매년 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보훈 유공자나 유족 가운데 생계가 곤란한 계층이 매년 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해마다 6월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애국정신과 호국정신에 대한 추모와 감사의 마음이
온 국토를 물들이지만 정작 보훈 가족들의 시선은 일회성 행사에 국한돼 있다며 곱지 않은 실정이다.

5일 전주·익산보훈지청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 생존해 있는 유공자 및 유족은 3만3천760명에 달하며 상이별로는
국가유공자 1만2천165명, 고엽제 후유증 2천320명, 참전유공자 2만1천595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생활이 어려워 생활조정수당을 받는 유공자가 2004년 230명,
2005년 236명, 올해 239명으로 해마다 소폭 증가 추세에 있다고 덧붙였다.

생활조정수당은 유공자 및 그 유족 가운데 국가보훈처장이 정한 생활등급 10등급
이하로 규정돼 10등급은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4인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의 40% 수준 이하의 이른바 생계곤란층.

그러나 수당을 지급 받는 생계곤란층의 경우 지자체 기초수급대상자 선정과 중복돼
3인 가족 기준 8만6천원, 4인 이상 9만6천원에 불과해 유공자들은 경제상황이나 금전보상 등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현실에 맞게 조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와 함께 유공자 등에 대한 정부의 보상이 물질위주로 이뤄져 예산부족만을 가중시킬 뿐  이들의 사기가 충족될 수 없어 실질적인 생계지원비와 함께 무형의 심리적, 정신적 보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주보훈지청 관계자는  “보훈
가족들에 대해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고 있다”며 “현충일을 단순 휴무일로 생각하지 말고 호국영령들을 추모하는 마음과 함께 이웃에 살고
있는 보훈 가족들을 위로하며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규호기자 hoho@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