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당원제]











[기간당원제]

열린우리당의 창당 정신을 담고 있는 기간당원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당 이념인 ‘당원이
주인되는 정당’을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간당원제도가
폐지 또는 개정 위기에 처하게 된 것. 17대 총선 이후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선과
5.31 지방선거에서의 여당 패배 주요인 중 하나로 기간당원제도가
꼽히면서, 제도 손질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실제로 기간당원제도는 정당이 추구해야 할 최고선이지만 국내 정치
실정에는 이르다는 평가가 다수였다. 선거를 위한 당원 모집이 많았고 이 과정에서 일부 지역에선 당비 대납 등의 위법
사실이 적발되기도 했다.

결국 당초 우려대로 5.31 지방선거
이후 기간당원의 일반당원 전환 또는 탈당 러쉬가 이어졌고, 당의 메카라는 전북 역시 비슷한 상황이 연출됐다.

이런 상황이 전개되면서 열린우리당 내에선 기간당원제도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됐다. 폐지론자들은 “선거에 앞서 기간당원을 모집하지 않은
인사를 영입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 때문에 인물론으로 패배하는 경우가
다수였다”고 주장했다. 선거를 위해 동원된 기간당원이
많았던 만큼 정치 신인을 내세우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는 것.

그러나 이 같은 당내 움직임과
달리 기간당원제도를 고수해야 한다는 반발도 적지 않다. 특히 인터넷
등 온라인을 통해 기간당원제를 옹호하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열린우리당 홈페이지에는 기간당원제 개정 반대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야당인 민주노동당도 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제
존폐 논란을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노동당 박용진 대변인은 “열린우리당이 기간당원제를 포기하는 듯 하다”면서 “지방선거 참패를 정당 민주주의 과잉
탓으로 돌리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친노직계 그룹으로 기간당원제도에
강한 애착을 보이고 있는 ‘참여정치실천연대’는 이달 말까지 지역별 의견수렴을 거친 뒤 최종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참정연은 지난 2004년 8월 기간당원제도를 도입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해, 당내 최대 개혁그룹으로
꼽히고 있어 이들의 최종 입장이 기간당원제 개폐 논란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