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상공회의소 송기태 회장은 “지역 인재를 제대로 육성시키는 정책이야 말로 행정은 물론, 정치권, 재계가 사활을 걸고 해야 할
중차대한 문제”라고 지적한다










전주상공회의소 송기태 회장은 “지역 인재를 제대로 육성시키는 정책이야 말로 행정은 물론, 정치권, 재계가 사활을 걸고 해야 할 중차대한
문제”라고 지적한다.

인재 키우기의 중요성을 적절하게 표현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분야의 장래는 결국 지역 출신 인재들의 역량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제 16대 대통령 선거에 맞춰 본보가
‘지방살리기’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한
‘2002 대선 전북중앙의 선택’ 시리즈가 표방한 지표 또한 ‘인재 육성’이다.

고급 인력이 타 시도로 역외유출되는 폐단을 막고 지역 발전을 위해 일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는 것은 결국 경제, 사회, 문화 등 지역사회 전분야의 발전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거센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지방분권 운동이 국민적 호응을
받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중앙정부의 기능을 지방에 대폭 이양, 지방의 자생력을 높이자는 것이 주요 골자인
분권운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방향도 결국 인재 키우기로 이어지고 있다.

지방분권운동 전북본부 최두현 사무처장은 “지역 인재가 능력을 펼칠 공간이
없어 중앙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이는 지방 공동화를 부추기는 악순환을 부추겨 지방 피폐화를 앞당기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처장은 이어서 “지역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방대 육성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의 중앙단위 노력과 함께 자치단체 또한 중장기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최근 전주시와 군산시가 전북 외국어고 유치를 위해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민간 차원의 장학사업 전개와 기부 문화가 정착돼야 인재를
제대로 육성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행정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분야가 자본이기 때문이다.

원광대학교 관계자는 “우수한 인력을 유치하고, 키우고, 묶어두기 위한 필수조건은 자본”이라고 전제한 뒤 “그러나 전북의 경우 순수한 민간인 장학 기부는 사실상 전무한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역 경제가 타시도에 비해 열악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빚어지는 현상인 것 같다”면서 “하지만 이 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지방대는 학생들의
등록금과 국비에만 의존해야 돼 고사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이 같은 현실을 극복 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대안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전주상의 송 회장은 “경남 등 일부 시도는 석학들이 지역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해 각종 사업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면서 “전북도 이제부터라도 행정과 정치권, 상공인 등이 나서 인재육성 마스터 플랜을 생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 회장은 또 “장기 대책 마련을 위해 전문 연구기관에 용역을 의뢰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역설했다.

앞으로 10년
뒤 전북 경제 규모가 지금과 같은 전국대비 2%에 그칠지 아니면 수직할 지는 전적으로 인재야성에 달려 있다.

/신정관기자 jkpen@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