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당원제]










[기간당원제]

열린우리당이 정당 개혁의 기치로 내걸었던 기간당원제도가 개폐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기간당원제도에 어떤 형태로든 ‘손질’이 가해질 경우, 당의 메카로 불렸던 전북 지역의 정당
문화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열린우리당 김형주 의원은 15일 MBC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기간당원제
전면 재검토를 주장했다. 김 의원은 ‘참여정치실천연대(회장 이광철 의원)’ 소속이다. 참정연은 기간당원제도의 뼈대를 구축하고 이를 실현시킨 개혁 세력으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참정연 소속인 김
의원의 주장은 더욱 이목을 끌 수밖에 없다. 김 의원은 5.31 지방선거 이후 “기간당원제는 유럽식인데
우리나라 문화에선 돈놓고 돈먹기식이 됐다”며 기간당원제의 폐단을 공개적으로 지적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김근태 비대위원장도 지난 11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기간당원제도의 원점
재검토와 관련한 질문에 “모든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원론적으로 제도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뜻으로 읽혔다.

기간당원제도가 이처럼 당내에서 논란이 된 것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乖離)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간당원제가 정당이 추구해야 할 이념과는 부합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서다. 기간당원이 같은이념을 공유하는
자발적 당원이 아닌, 지역선거 공천을 따내려는 잠재적 후보들이 동원한 `사조직'의 성격이 짙다는 것이다. 실제로 기간당원제도는 각지에서 종이당원,
당비대납, 명의도용 등의 부작용을 야기시켰다.

 기간당원제도는 또 정치 신인의 선거 출마를 사실상 제한하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기간당원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정치 신인의 경우 각종 선거 출마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정당 역시 과거에는 전략공천을 통해 유능한 정치 신인을 후보로 내세울 수 있었지만,
요즘은 지역내 기간당원들의 반발에 부딪혀 신인 영입 자체가 쉽지 않다.

이와 함께 후보 경선이나 본선거가 끝난 뒤 기간당원들이 대거 이탈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실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기간당원을 보유하고 전북도당도 당내 경선이 끝나면서,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여러 부작용이 드러나면서 기간당원제도의 순기능에도 불구, 개폐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이 정당 문화 개혁의 기치로 내걸었던 기간당원제도를 어떻게 손질할 것인지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기간당원은 우리당에
매월 2천원 이상의 당비를 납부하고, 연 1회 이상 연수를받는 당원에게 부여되는 자격으로, 일반당원과는 달리 당내 선거권과 피선거권, 당직 소환권을
행사할 수 있다./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