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이런 교육수장을 원한다.

  “사교육비 경감, 소외계층 배려, 공교육 강화 등의 교육정책을 잘 추진할 수 있는 후보가 첫 민선 교육수장의 적임자다” 전교조 전북지부 김지성 정책실장. “학생들의 학력 신장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를 위해 공교육을 살릴 수 있는 후보가 전북 교육정책을 수행해야 한다” 전북도 교원단체총연합회 허기채 회장. “맞벌이 부부가 낮 시간대 육아의 책임을 잊도록 교육정책을 마련해주는 후보에게 한 표를 행사하겠다” 학부모 배선영(39)씨. 사상 첫 직선제로 치러지는 제15대 전북도 교육감 선거를 바라보는 교육현장의 시각이다.

대부분의 유권자들이 첫 민선 교육감에게 요구하는 주문도 대체로 비슷할 것으로 예견된다.

한 해 약 2조원 가량의 교육예산을 집행하고, 14개 시군 교육장 및 교장, 교원 인사권을 쥐고 있는 도 교육감. 그래서 이번에 첫 직선제로 선출되는 교육수장을 일컬어 지역교육 소통령, 교육 도지사라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이 같은 화려한 수식어가 붙는 교육수장에게 교육현장에서는 무엇보다 공교육을 바로잡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공교육이 제대로 서야 사교육비 지출을 막고, 학생들의 실력도 자연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육아의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모(56) 교사는 “농산어촌 학교의 특수성을 감안한 교육정책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이주여성 및 이들 자녀, 그리고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은 효율성보다 복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진다.

3명의 예비후보가 하나 같이 공교육의 중요성을 부각하며, 이에 따른 세부 공약을 들고 나온 것과 일맥 상통한다.

뿐만 아니라 교육당국의 높은 문턱과 권위주의를 해소시킬 수 있는 교육수장을 주문하기도 했다.

김 정책실장은 “관주도의 장학지도와 각종 연찬회, 학생동원에 따른 학습권 침해 등이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면서 “교육수요자 눈높이에 맞추는 교육행정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밖에 학생들에 대한 지나친 인권침해 해소, 안전한 먹거리 제공(학교급식), 학교폭력 예방 대책 등도 민선 교육수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번 선거가 유권자들의 무관심속에 그들만의 리그로 치러지고 있다는 점이다.

선거 초반이기는 하지만 지방선거와 달리 이번 교육감 선거전은 아직 달아오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 전직 교사는 “전북 보통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도 교육감의 교육철학에 따라 전북의 미래가 달려 있는 만큼 후보별 공약을 꼼꼼히 분석하고, 반드시 선거에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신정관기자 jkpen@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