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기준으로 두바이 국제유가가 140달러를 돌파하는 등 제3차 오일쇼크가 현실화되면서 산업 전반에 걸쳐 비상등이 켜졌다.

유가에 민감한 일부 업종은 채산성을 맞추지 못해 공장가동을 중단하고 생산라인을 감축하는 등 비상체계에 돌입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6일 정부는 최근 국제유가가 2차 석유 위기 당시 수준인 150달러에 바짝 다가서자 고유가 상황에 대비한 단계별 위기관리계획 중 공공부문의 조치들을 앞당겨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88올림픽 이후 20년 만에 처음으로 승용차 홀짝제가 등장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에너지 위기에 대한 심리적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고유가·물가에 ‘속수무책’ 경제= 고유가와 함께 원자재 급등의 폭탄을 맞은 건설업계는 올해 예년의 2배가 넘는 최대 400여 업체의 줄 도산이 우려되고 있다.

건설협회와 전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부도난 업체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125개사에서 44.9% 증가한 180개사(일반 57곳, 전문 123곳)로 나타났다.

고유가로 인한 건설기기 운영비 추가 부담이 원자재 급등의 악조건과 맞물리면서 건설경기는 극도로 악화됐다.

도 건설협회는 “건설산업 전반이 장기 침체에 빠져들면서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을 주문했다.

고유가와 함께 물가까지 급등하면서 요식업소를 비롯한 도내 주요 마트와 편의점 등 유통업계와 주유소의 휴·폐업도 속출하고 있다.

요식업 전북지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4월까지 문을 닫은 도내 음식점은 한달 평균 100여 곳으로 모두 449개소에 달했다.

비회원 업체를 포함하면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많은 음식점들이 문을 닫았을 것이란 추정이다.

도내 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자동차 제조업과 중고차 시장, 화물·여객 운송업, 공산품 제조업 등 산업 전반이 고유가에 흔들리고 있다”며 “생산라인을 줄이는 등 자구책을 찾고 있지만 장기화 될 경우 실업난까지 우려되는 등 지역경제에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유가 에너지 소비량 ‘여전’= 국제유가가 지난 1주간 9.3% 상승하는 등 폭등세를 보이고, 산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에너지 총 소비량은 여전히 줄지 않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5월까지 총 에너지 소비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4.3% 급증했다.

고유가가 계속되면서 석유제품 소비는 지난해와 비교해 3.5% 줄었지만, 대체 에너지원으로 LNG와 전기 등에 수요가 몰리면서 전체적인 소비량은 오히려 늘었다.

휘발유는 같은 기간 1.2%가 증가했고, LNG는 11.6%, 전력 소비는 7.3% 증가했다.

화훼와 축산농가 등 농업부문의 전력 사용량도 전년 동기보다 9.3%나 크게 늘었다.

정부는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에너지 소비량이 줄지 않자 공공부문에서 먼저 소비량의 10%를 감축, 민간부문의 절약을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에너지 절약 ‘선택 아닌 필수’= 정부 에너지절약 대책에 따라 공공부문에서 시행되는 승용차 홀짝제는 출퇴근 보완대책 등이 마련된 뒤 15일부터 이뤄진다.

전국 43개 중앙정부와 272개 지방자치단체, 199개 교육청 등 모두 819곳의 공공기관이 이에 해당된다.

정부는 또 유가가 안정될 때까지 공공부문에서 관용차 운행을 30% 감축하고, 오는 2012년까지 운행중인 관용차량의 50%를 경차나 하이브리드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기념탑과 분수대, 교량 등 공공시설물에 설치된 경관조명을 일체 금지하고, 일부 일반도로와 고속도로의 불필요한 가로등도 부분 소등된다.

공공부문에서 선 에너지절약 대책과 함께 민간 영역에서도 각종 절약 대책이 권고된다.

민간 유흥업소의 야간 영업시간이 단축되고, 주유소·골프장 등의 옥외 간판 및 조명 사용, 네온간판 사용이 자제되며, 3천㎡ 이상 대형점포의 외부전시용 조명도 자제를 권고했다.

정부는 상황에 따라 원유수급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하거나 우려가 있을 경우 민간부문 권고를 강제조치로 전환하는 한편, 에너지 절약 투자 확대 지원을 위한 세제 감면 등도 병행할 예정이다.

/손성준기자 ssj@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