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원(서남권취재본부장)
  42년 만에 부안군 인구가 늘었다.

지난 7월 집계에 따르면 7월말 현재 부안군 인구는 6만 1110명으로 지난 6월말 6만1074명에 비해 36명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1966년 이후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던 부안군 인구가 무려 42년 만에 늘어난 것으로 그 뜻이 남다르다.

이를 읍·면별로 살펴보면 부안읍이 36명 늘어난 2만1058명으로 가장 많이 늘었으며 변산면이 27명 늘어난 5232명, 상서면이 12명 늘어난 2738명, 하서면이 10명 늘어난 3494명, 진서면이 7명 늘어난 2912명, 행안면이 2명 늘어난 2668명으로 나타났다.

부안군 인구가 이처럼 최근 들어 증가한 것은 대명리조트 등 중대형 관광숙박시설 등이 관내에 들어서고 있는데다 새만금 개발에 따른 특수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앞으로도 모항과 궁항, 변산해수욕장 등에 중대형 관광숙박시설 건설이 예정되어 있어 이들 업체들이 창출할 신규 고용인력 등의 증가에 따른 추가 인구 증가가 예상되고 있어 부안군 인구 증가의 청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난 7월 부안군 인구 감소에 대한 지적을 했다.

당시 지적의 주 타깃이 공무원이었다.

700여 명의 부안군 소속 공무원 중 실제로 가족과 함께 부안군에 거주하고 있는 공무원이 겨우 300여 명에 불과하다는 내용이었다.

무려 400여 명에 가까운 직원이 외지에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은 군민들에게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다.

지적에 대한 반응은 여러 각도에서 ‘뉴스의 재생산’을 가져왔다.

‘교육과 문화적인 해결 없이 단순히 외지 거주를 비판하는 시각은 잘못됐다’는 반응과 ‘그래도 모범을 보여야 할 공무원들이 관내 거주를 통해 부안군 살리기에 앞장서야 한다’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기초 기반이 부족하기 때문에 떠난다’는 항변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해 생활의 기초 기반을 닦아나가자’는 주장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하는 식의 고전적인 다툼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모두 떠나기만 하면 남은 부안군의 발전은 요원하다는 사실이다.

부안군은 민선 4기들어 오랜 다툼의 진원지였던 ‘방폐장의 아픔’을 딛고 고향살리기에 매진하고 있다.

그 결과 군수를 중심으로 ‘한번 해보자’는 역동의 움직임이 곳곳에서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군수를 중심으로 6만여 군민이 모두가 합심하고 단결할 때 부안군은 다시 ‘생거부안’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다.

바람은 불고 이제 목표를 향한 순항을 위해 돛을 달아야 한다.

그 돛은 바로 공무원들의 ‘솔선수범’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부안군 인구의 증가에 대해 "전주 등 도시를 제외하고 군 지역에서 최근 인구가 증가한 것은 부안군을 비롯한 한두 군데 지역밖에 없다"고 말하고 "앞으로도 부안군의 인구는 새만금 개발과 관광지 조성 등을 통해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그에 앞서 부안군에 속속 뿌리내리는 공무원들의 모습을, 광경을 보고 싶다면 너무도 무리한 꿈일까?

/강태원(서남권취재본부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