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부동산 구입을 목적으로 받은 고소득층의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의 불균형 현상도 부동산을 중심으로 크게 악화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0일 발표한 '가계대출의 현황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수의 비중은 2000년 47%에서 2006년에는 83%로 급상승했다.

그러나 소득 1~3분위의 2006년 금융부채 비중은 2000년 대비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최상위 계층인 5분위 소득계층의 금융부채 비중은 2000년 34%에서 2006년 40%로 증가, 이 기간 동안 가계대출 증가가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에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가계대출의 3분의 2 이상이 부동산 관련 대출로, 고소득층일수록 부동산 구입자금 비중이 높아 부유층이 차입을 통해 부동산 등의 실물자산을 증식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분배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도 총자산의 경우 2000년 0.60에서 2006년 0.64로, 실물자산의 경우 2000년 0.63에서 2006년 0.67로 악화됐다.

이는 2000~20006년에 부동산가격이 높은 상승률을 보임에 따라 고소득층 중심의 부동산 구입을 위한 가계대출 증가로 부의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KDI는 이에 대해 "최근 수년간 급증한 가계대출이 고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돼 왔다는 점은, 우리나라의 가계부문이 금리변동, 경기둔화와 실업률 증가에 상대적으로 덜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주로 저소득층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이 확대된 미국과는 대조적으로 신용 상태가 양호한 고소득층에 가계대출이 몰려 경기침체에 따른 가계부문의 위험부담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이 KDI 측의 해석이다.

그러나 KDI는 이어 "전반적으로 부채상환의 원천인 가계소득의 증가세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에 비해 유동성이 낮은 부동산자산이 가계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선진국에 비해 높다"며 "경기침체에 대한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대응 여력이 높지 않을 수도 있다"고 충고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