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을 시도해 본 흡연자 10명중 2명 이하만이 금연 치료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조비룡, 신동욱 교수팀은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흡연자들의 금연 치료제 사용 경험을 조사ㆍ분석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기간 중 '지난 1년간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흡연자 4788명을 대상으로 '금연 치료제(니코틴 대체재, 의사 처방 약물)를 사용해 본적이 있는가' 를 물은 결과 흡연자의 15.7%만이 '사용해 본적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니코틴 대체재 15.3%, 의사 처방 약물 0.7% 순이었다. 일부 흡연자는 두 가지 치료제를 모두 사용했다.

국내 금연 시도자의 금연 치료제 사용 비율 15.7%는 연구방법과 연구시기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영국의 48.4%, 미국의 32.2%, 스위스의 24%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니코틴 대체재 사용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5년 10.7%에서 2011년 21.3%로 증가했다. 이는 2004년부터 보건소에서 시작한 금연 클리닉 사업의 효과에 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동욱 교수는 "국내에서는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 치료제가 있다는 사실을 듣지 못했거나 담배만큼 위험하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며 "교육을 통해 금연 치료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금연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약물치료와 금연상담은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민간 병의원에서 시행할 경제적 유인이 없다"며 "이러한 서비스의 보험 적용을 통해 금연 치료제 사용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비룡 교수는 "중증질환에 대한 보장성은 강화되고 있으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금연, 절주, 체중 관리 등 생활습관 개선에 대한 진료와 약제사용은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보험 적용 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회지(PLoS ONE)지 10월호에 게재됐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