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나 예방을 통해 줄일 수 있는 국내 사망자가 40%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정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통계청의 2010년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의 회피가능 사망률을 산출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전체 사망자 중 치료나 예방을 통해 회피 가능한 비중은 38.8%로 집계됐다.

예방 가능 사망은 흡연, 위험음주와 같은 건강위험요인 관리와 예방접종과 같은 공공보건정책, 자살 및 사고 예방 등이 포함된다.

치료 가능 사망은 조기검진, 시의적절한 치료 등과 같은 양질의 보건의료중재를 통해 피할 수 있었던 죽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전체 사망자 중 치료 가능 사망 비중은 14.4%, 예방가능 사망 비중은 28.6%로 분석됐다.

예방가능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미뤄 보건의료 정책이 예방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했다.

회피가능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04.4명이다.

치료가능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75.5명, 예방가능한 사망률은 10명당 150.4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로 보면 25~29세 사이의 사망자 중 회피가능 사망률이 84.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20~24세와 30~34세가 82.3%, 35~39세가 78.8%로 뒤를 이었다.

20대~30대 젊은 연령층에서 회피가능 사망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젊은 층을 비롯해 대부분은 예방 가능 사망 비중이 높은 반면 4세 이하는 치료가능 사망률이 사망자 중 67.2%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현저히 높은 특징을 보였다.

영유아의 사망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료의 접근성이나 의료시스템의 문제 등을 진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성별로는 질병과 사고·손상으로 인한 회피가능 사망 비중이 남성은 32.3%, 15.3%임에 비해, 여성은 18.7%, 9.1%로 남성이 모두 높았다.

이밖에 사고·손상을 제외한 질병에 기인한 회피가능 사망에서는 40대 이하는 치료가능 사망이, 40대 이후는 예방가능 사망이 높으며, 남자는 예방가능 사망이 여자는 치료가능 사망의 비중이 높았다.

정 위원은 "우리나라의 치료가능 사망과 예방가능 사망은 잉글랜드·웨일즈에 비해 각각 0.9%포인트와 10.8%포인트 차이나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예방이 취약하다"며 "예방가능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 및 건강증진 정책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