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열량 음식-車 이용률 증가 연령별로 남성 20대가 '최고'

고열량 음식의 보급과 자동차 이용률 증가 등으로 우리나라 20~30대 초고도비만 유병율이 10여년간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이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일반건강검진 빅데이터 1억902만8689건을 활용해 고도비만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비만도는 체중(kg)을 신장(meter)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지수(BMI)로 산정하며 고도비만은 BMI≥30일 때, 초고도비만은 BMI≥35을 기준으로 한다.

15일 공단에 따르면 초고도비만율은 2002년 0.2%에서 2013년 0.5%로 12년간 2.9배 증가했다.

고도비만율도(BMI≥30) 같은 기간 2.5%에서 4.2%로 1.7배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초고도비만율은 여성이, 고도비만율은 남성이 높았다.

2013년 기준 초고도비만율은 여성 0.50%, 남성 0.47%였고 고도비만율은 남성 4.7%, 여성 3.7%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남성 20대의 초고도비만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0.9%), 여성은 30대에서 0.7%로 가장 높았다.

증가폭을 봐도 2002년 대비 2013년 증가는 남녀 모두 20~30대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30대는 남성의 경우 4.8배, 여성은 무려 6.3배 껑충 뛰었다.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초고도비만율 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도비만율은 남성은 30대(7.1%), 여성은 60대(5.05)에서 가장 높았다.

거주지역별로는 2013년 기준 농어촌 지역의 초고도비만율이 0.47%로 중소도시 0.46%, 대도시 0.42% 보다 높았다.

2002년 대비 2013년 초고도비만율 증가는 농어촌 2.4배, 중소도시 2.9배, 대도시 2.8배로 모든 지역에서 고도비만율 증가율(농어촌 0.7배, 중소도시·대도시 0.6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는 "20~30대의 고도비만이 급속이 늘어난 원인 중 하나는 1980년대를 거치면서 국내에 패스트 푸드가 급속히 보급되고, 자가용 이용률 증가로 신체활동이 감소되는 등의 사회·문화적 변화때문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1980년대에 청소년기를 보내면서 위험요인에 노출된 사람이 성인이 되면서 스스로 조절이 불가능한 고도비만이 되는 현상은 청소년때부터 비만을 관리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제언했다.

건보공단 김종대 이사장은 "비만관리를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비만관리대책위원회를 운영해 건강검진 문진표에 정크푸드 섭취빈도 등의 설문항목을 추가하는 방안과 원스톱 비만관리 종합사이트 구축, 개인맞춤형 비만관리프로그램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을 검토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비만을 포함한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고 있으며 향후 지표를 지역·사업장별로 제공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장이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해 나갈 것이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