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체중감량 등으로 20~30대 가임기 여성 100명중 4명은 월경 없거나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생리불순과 관련된 '무월경, 소량 및 희발 월경' 진료인원은 2008년 35만8000명에서 2013년 36만4000명으로 연평균 0.4% 증가했다.

2013년 기준으로 연령별 여성 인구 10만명당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20대가 4298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30대 3347명, 40대 1479명 순이었다.

20~30대는 평균 3.8%가 이 질환을 겪고 있는 셈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20, 30대 미혼여성에서 나타나는 무월경 및 희발 월경의 주 원인은 다낭성 난소증후군과 스트레스나 체중 감소에 의한 시상하부 장애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은 아직 정확한 병태생리가 밝혀지지 않은 복합성 질환으로 만성 무배란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 월경, 난임, 다모증, 여드름, 비만등의 임상증상을 동반한다.

근래에 그 진단 기준이 정해진 만큼 과거에는 진단되지 않고 '결혼하고 아이 낳으면 좋아지는 생리불순' 정도로 치부된 부분이 없지 않았다.

최근에는 스트레스나 단식, 지나친 운동으로 인한 극단적 체중 감소를 경험한 환자가 늘고 있다.

정 교수는 "이들은 스트레스의 주 원인이 해결되고 나면 다시 정상적인 생리 주기를 찾는 경우가 많지만, 과다한 스트레스에 의해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나 극단적인 체중 감량 후 본인에 대한 왜곡된 신체 이미지를 갖는 거식증으로 이환되는 경우도 있어 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협의 진료를 하게 되는 때가 많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거식증 등 식이장애가 월경장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키와 몸무게를 객관적으로 확인해 BMI(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체중 미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정 교수는 "실제 환자들은 본인의 정확한 몸무게를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표준 체중을 함께 확인하고 BMI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의 시작점"이라며 "이 경우 호르몬제 복용으로 무월경을 치료하기 보다는 적정 체질량 지수 회복이 치료의 초석이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