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화력 위협 미치지 않아 中 산둥반도 일부 레이더 범위

▲ 12일 오후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군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사드 성주배치 반대 범군민비상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참가자들이 '결사반대'라고 쓰인 띠를 두르고 앉아 있다. /연합뉴스

한미 양국 군 당국이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지역을 경북 성주로 사실상 결정단계에 들어간 것은 군사적 효용성뿐 아니라 국내외 파장 등을 두루 고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성주에 사드를 배치하면 주한미군 기지가 들어설 경기 평택을 포함한 경기도의 상당히 넓은 지역까지를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

지역방어시스템인 사드는 전방 200여㎞ 반경의 영역을 방어한다.

평택이 성주에서 북서쪽으로 약 160㎞ 떨어진 점을 고려하면, 평택 전 지역이 사드 방어권 안에 들어가게 된다.

서울의 남쪽 경계선은 성주에서 직선거리로 약 200㎞ 떨어져 있다.

성주에 사드를 배치하면 수도권 남쪽까지 방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주한 미 공군이 주둔하는 군산기지도 사드 방어권에 포함된다.

사드는 후방으로는 약 100여㎞ 반경의 영역을 방어할 수 있다.

성주와 부산의 북쪽 경계선이 약 100㎞ 떨어져 있음을 감안하면, 남부 지역의 상당한 부분도 사드로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부산에서 시작되는 영남 지역 주요 도로가 유사시 부산항으로 들어오는 미군 증원전력이 북쪽으로 진격하는 루트인 만큼, 성주의 사드 포대는 미 증원군의 안전을 담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성주가 북한의 화력 위협이 미치지 않는 곳에 있다는 점도 군사적으로 유리한 부분이다.

성주와 가장 가까운 군사분계선(MDL) 지점의 직선거리도 약 250㎞에 달한다.

북한이 올해 말 실전 배치할 것으로 알려진 300㎜ 신형 방사포는 최대 사거리가 200㎞에 그치기 때문에 북한은 성주에 배치될 사드 포대에 화력 공격을 할 수 없게 된다.

북한이 성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사드의 요격 대상이 됨은 물론이다.

성주에 우리 공군의 방공기지가 있다는 점도 군사적 효용성을 높이는 요소다.

성주의 방공기지인 성산포대는 해발 약 400m의 고지대에 있어 사드를 운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양국 군 당국은 산악 지대인 한반도 지형에서 사드 레이더의 넓은 탐지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높은 지대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방침을 유지해왔다.

한미 양국이 성주를 사드배치 지역으로 결정한 데는 중국의 반발 가능성에 대한 외교적 고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군이 운용할 사드의 사격통제용 레이더는 최적 거리가 600∼800㎞다.

성주에 사드를 배치하면 북한의 거의 모든 지역이 레이더 탐지 범위에 들어가는 반면, 중국 지역은 산둥 반도의 끄트머리와 북중 접경 일부 지역만 레이더 탐지 범위에 포함된다.

한반도에 배치될 사드가 중국 미사일 탐지•추적을 위한 것이라고 보는 중국의 우려를 조금이라도 덜기 위한 최적지로 성주가 선택됐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성주가 사드배치 지역으로 낙점된 데는 지역 주민의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판단도 깔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성주의 전체 인구는 4만5천명으로, 사드배치 유력 후보지로 거론된 다른 지역보다 인구 밀집도가 낮다.

언론에 거론된 사드배치 후보지인 경북 칠곡은 인구가 12만명이고 경남 양산과 경기 평택은 각각 31만명, 46만명에 달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