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앞두고 이합집산정
당 통폐합 가능성높아
진보 중도권-범보수권
헤쳐모이는 양당체제
진보-보수-제3지대신당
다당체제 등 재편 불가피

민주-평화 중앙당차원
전격 통폐합 결정땐
전북정치권 단일행보
원외인사 반발불가피
당선유력한 인사중심
새로운 세력형성전망도

국회가 예산정국에 돌입하면서 정치권 관심이 차기 국회의원 총선거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21대 국회의원 총선은 오는 2020년 4월에 치러지지만 현역 의원들과 총선 입지자들은 벌써부터 총선 모드다.

차기 국회의원 총선을 앞두고 주요 정당간 통폐합을 포함한 이합집산 즉 정계개편 시나리오와 시민단체-야권이 강력히 주장하는 선거제도 개편 등 2대 핵심 의제에 정가 관심이 집중된다.

정계개편과 선거제도 개편은 어느 방향으로 정해지느냐에 따라 정국 구도를 완전히 변화시키게 된다.

정치권에선 연말연초 그리고 내년 2월께로 예상되는 자유한국당의 전당대회를 전후해 정계개편, 선거제도 개편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북 정치권은 2대 키워드에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
/편집자주 

/정계개편 시나리오-중앙권/

우리 정치사는 주요 선거를 앞두고 수많은 정당의 창당과 소멸 그리고 통폐합이 일어났다.

거대 정당은 물론 군소 정당까지 포함하면 창당, 소멸된 정당은 부지기수다.

이중 압권은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함께 100년 정당을 표방하며 거창하게 창당됐던, 당시 집권 열린우리당이다.

열린우리당은 불과 4년을 넘기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003년11월 창당해 2007년8월 대통합민주신당과 합당했고 2008년2월 민주당과 합당해 통합민주당이 됐다.

정당사의 가까운 사례는 지난 20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켰던 국민의당이다.

국민의당은 총선거에서 호남권을 사실상 장악했다.

2016년2월 창당해 20대 총선거에서 호남권을 포함해 정당 득표율에서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국민의당 역시 불과 1년 만인 2017년2월,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으로 분당됐다.

이처럼 정당사에선 수많은 정당의 생성-소멸이 놀라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21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도 당연히 정당간 이합집산, 통폐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1대 총선을 염두한 현역 의원과 입지자들은 여야 정치권이 어떻게 재편되느냐에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당선 가능성이 높은 정당을 택해야 총선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중앙 정치권에선 정계개편과 관련해 크게 두 가지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첫째는 진보-중도권 정당 그리고 범보수권 정당으로 헤쳐모이는 양당 체제다.

정가에선 진보-중도 정당으로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을 꼽는다.

범보수권 정당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바른미래당은 보수정당이 아니다.

그 쪽으로 분류하지 말라”고 강조하지만 중앙 정가에선 보수정당으로 보는 분위기다.

먼저 범보수권 정당 탄생은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이 통폐합해 보수 재결집을 노리는 것이다.

자유한국당의 국회의석은 112석, 바른미래당은 30석이다.

합하면 142석이다.

거대 보수 야당이 탄생하는 것이다.

자유한국당의 내년 초 전당대회에서 어떤 지도부가 선출되느냐에 따라 바른미래당과의 통폐합 논의가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범보수에서 강력한 야당이 나오면 그 여파는 집권세력으로 이어진다.

집권세력은 국회의석 129석을 가진 더불어민주당 만으로는 힘의 한계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민주평화당 14석, 정의당 5석 그리고 무소속 의원들에게 합류를 타진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보-중도를 표방하는 진보중도 정당이 탄생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는 진보정당, 보수권 정당 그리고 제3지대 정당 등으로 구성되는 다당 체제다.

현재의 국회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2당인 자유한국당은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이념적으로 탄탄한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당 내에선 차기 국회의원 공천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당내 주류와 비주류로 나뉘게 된다.

당내 공천 경쟁에서 주도권을 놓치는 세력은 총선에 불출마하거나 아니면 탈당, 창당 등 새로운 행보를 고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참신한 신진 인사들과 현역 탈당자들이 ‘새로운 정치’를 기치로 내걸고 제3지대에서 정당을 출범시킬 수 있다.

이른바 제3지대 정당이다.

여기에는 현역 의원 기준으로 ‘민주당 일부+바른미래당 일부+민주평화당 다수’로 구성될 가능성이 크다.

제3지대 정당은 중도개혁정당을 표방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여기에 합류하는 인사들은 지난 20대 국회의원 총선 당시의 국민의당 돌풍 배경 등을 충분히 분석하고 신당 성공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들어가게 된다.

정가 일각에선 “정계개편은 불발될 것”으로 관측하는 이도 있다.

민주당-자유한국당 등 거대 정당이 기득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여타 정당과의 통폐합 논의를 거부해 결국 현재와 같은 다당제가 유지된다는 것.

하지만 군소 야당을 중심으로 “이 상태로는 선거를 치르기 어렵다”는 말이 많아 어떤 식으로든 정계 재편은 불가피하다는 시각이 많다.


/정계개편 시나리오-전북권/

중앙 정치권이 거대 양당 체제, 또는 제3지대 정당을 포함한 다당 체제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전북 정치권의 변화도 주목된다.

여기에는 중앙당의 공천 탈락, 즉 현역 의원에게는 ‘공천 학살’로 불려지는 현역 교체율도 주요 변수가 된다.

현역 교체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될수록 주요 정당내 탈당과 신당 창당 흐름도 빨라지기 때문이다.

 전북의 현재 정치구도는 매우 복잡하다.

10석의 지역구 중 더불어민주당 2석, 민주평화당 5석, 바른미래당 2석, 무소속 1석 등으로 다양하게 나눠져 있다.

여야 어느 정당도 확실하게 주도권을 잡지 못하는 상태다.

현 지지율로 보면 민주당의 압승이 예상되지만 차기 총선거까지는 앞으로 1년 이상이나 남아 있어 어느 쪽도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실정이다.

 전북 역시 중앙 정치권 변화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겠지만 지역 특성상 특별한 점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중앙 차원의 전격적인 통폐합 분위기에 의해 단일한 정당으로 합치는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21대 총선거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인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세력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만일 중앙 정치에서 민주당과 민주평화당 그리고 바른미래당 일부까지 포함해 ‘전격 통합’이 결정되면 도내 정치권도 이에 따라가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집권 민주당내 원외 인사들의 격한 반발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민주당 원외인사들에게 이니셔티브를 주는 동시에 타 정당 현역 의원들에게는 ‘공정한 경선’ 정도를 보장하는 선에서 합의점을 찾을 수 있다.

다른 한 가지는 21대 총선거에서 누가 살아남을 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인사를 중심으로 세력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난 20대 전북의 국회의원 총선에선 ‘정동영-유성엽’, ‘이춘석’ 등이 양 쪽을 대표해 선거를 치른 바 있다.

이런 현상은 21대 총선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당선 유력 인사를 중심으로 세력이 모아지는 것.

전북권의 정계개편 시나리오와 관련해 도내 지역구 의원들은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A 의원은 “아직 섣불리 정계개편을 얘기할 시기는 아니다. 그러나 지금 현재 정당 구도로 선거를 치른다고 생각하는 의원은 거의 없다. 어떻게든 정계개편이 일어날 것이며 그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B 의원은 “최대 변수는 역시 민주당과 평화당의 통폐합 여부일 것이다. 양당이 통폐합에 의견을 모은다면 전북 선거 구도는 엄청난 후폭풍에 휩싸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C 의원은 “내년 2월로 예상되는 자유한국당의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중앙발 정계개편이 일어날 것”이라며 “중앙 분위기가 전북에도 그대로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D 의원은 “아직은 그 어느 것도 장담하기 어렵다. 연초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