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까지 10개생산라인증설
글로벌 3위 일자리 2,300개 창출
도 '탄소산업진흥원' 설립 추진···
탄소소재법 국회 통과 절실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후 전북 전주시 효성첨단소재㈜ 전주공장에서 열린 탄소섬유 신규투자 협약식이 끝난 뒤 탄소섬유가 플라스틱 저장용기를 감아서 성형하는 수소저장용기 제작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후 전북 전주시 효성첨단소재㈜ 전주공장에서 열린 탄소섬유 신규투자 협약식이 끝난 뒤 탄소섬유가 플라스틱 저장용기를 감아서 성형하는 수소저장용기 제작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전주 효성공장을 방문한 것은 한일 경제전쟁에 맞서 첨단소재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는 전북도와 전주시가 ‘탄소산업 메카’로 추진중인 도정의 주요 사업방향과도 일치한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탄소섬유 분야에서 후발 주자이지만, 다행히 효성이 시행착오를 겪으며 2011년부터 국산화 개발에 성공했다며 효성의 투자계획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를 취했다.

효성의 담대한 도전과 과감한 실행을 정부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혀, 문대통령의 지원약속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장밋빛 청사진 이면에는 전북의 탄소산업 육성을 위한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 효성의 탄소투자 계획

효성그룹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탄소섬유 산업에서 '글로벌 톱3'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앞으로 10년간 총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탄소섬유는 최근 일본 정부가 한국을 ‘백색 국가(화이트 리스트)’ 명단에서 제외하면서 국내 산업의 피해가 예상되는 품목이라는 점에서 이번 투자 계획은 부품·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효성은 이 날 ‘신규 투자 협약식’에서 2028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현재 연 2천t 규모(1개 라인)의 탄소섬유 생산 능력을 2만4천t(10개 라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현재 1차 증설이 진행 중으로, 2028년까지 10개 생산라인 증설이 모두 끝나면 현재 11위(2%)인 글로벌 점유율이 3위(10%)까지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고용도 현재 400명 수준에 그치고 있으나 오는 2028년까지 2천300개 이상의 새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추산했다.

효성그룹 조현준 회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탄소섬유의 미래 가치에 주목해 독자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면서 “후방 산업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데다 정부가 ‘수소경제’로 새로운 시장을 열어준 만큼 탄소섬유를 더욱 키워 ‘소재강국 대한민국’ 건설에 한 축을 담당하겠다”고 말했다.

또 “스판덱스, 타이어코드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 1등이 가능한 이유는 소재부터 생산공정까지 독자 개발을 통해 경쟁사를 앞서겠다는 고집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또다른 소재 산업의 씨앗을 심기 위해 도전을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효성의 적극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

▲ 문재인 대통령 효성 방문의 의미는?

문 대통령이 이날 효성과 전북도, 산업통상자원부와 효성·일진복합소재·KAI( 한국항공우주산업) 등의 사업 협약식에 직접 참석한 것은 탄소섬유 산업의 미래 성장성과 일본 견제를 동시에 염두에 뒀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이와함께 일본 정부의 최근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횡포’로 인해 국내 업계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전략물자 가운데 하나로 탄소섬유가 꼽힌 것도 이날 '대통령 행사'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왔다.

정부가 일본 수출통제 가능 품목 가운데 집중 관리 품목으로 지정한 159종에도 탄소섬유가 포함됐다.

탄소 산업 육성은 일본과의 경제전쟁에서 중요한 무기 확보라는 국가적 실리가 충분하고 그 무대가 탄소기반이 탄탄한 전북이 될 경우 지역경제 회복을 통한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전주와 완주에는 137개의 탄소 기업이 위치해 있고 정읍 첨단과학산업단지에도 35개 방사선·바이오 기업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전북도는 2006년 탄소섬유 생산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산업 육성정책 추진, 2014년에는 탄소산업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이듬해에는 관련 조례를 전국 최초로 제정하기도 했다.

여기에 탄소산업 육성의 토대이자 국가차원 탄소산업 컨트롤 타워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설립도 추진되고 있다.

전북에 탄소 관련 기업이 밀집, 성장 기반은 충분히 마련된 셈이다.

▲ 탄소관련 현안 풀릴수 있을까?

문 대통령의 방문에 이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더해지면 국내 탄소산업은 한층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우선 탄소산업진흥원 설립을 위한 탄소소재법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가 절실하다.

해당 법안은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이다.

지난해 여야 간 합의에도 불구하고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타지역 의원이 발목을 잡으면서 법 통과가 무산됐다.

탄소산업진흥원이 설립되면 국가 차원에서 장기간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탄소산업 육성전략을 마련하고 원천기술 개발과 상용화, 전문 인력 양성 등이 가능해져 국내 탄소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일본과 경제전쟁을 벌이기에 앞서 일시적으로나마 내부 갈등을 봉합하고 국가적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탄소소재는 대중화를 앞둔 친환경 미래자동차인 수소연료자동차, 전기자동차 등 일부 핵심소재 부품에 사용돼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일본과의 경쟁은 불가피하다.

이를 위해선 정부가 R&D투자를 통해 탄소소재 산업의 체질을 개선, 가격·품질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전북도 고위관계자는 “정부가 발표한 핵심 부품기업 지원대책 가운데 탄소는 전북이 10년째 육성해오고 있는 사업”이라며 “탄소소재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탄소산업진흥원을 설립하고 국가차원에서 탄소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