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 정치인들이 대거 낙마한 전북의 4.15 총선은, 초재선 중심의 전북 정치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요구하고 있다.

4.15 총선을 통해 전북은 주요 정당의 대표, 원내대표 그리고 국회의 예결위원장, 상임위원장 자리를 차지하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초재선 중심으로 전북 국회가 구성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21대 국회에선 국가 현안 사업이나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타 지역과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런 면에서 탄소소재법의 극적인 국회 통과는 전북이 21대 국회에서 범전북 정치권, 즉 전북과 연고가 있는 국회의원 당선자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분명한 답을 주고 있다.

전북 현안을 성사시키기 위해선 국회와 긴밀하고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는 게 핵심이다.

지역 발전을 위해선 국회의 도움이 절실하다.

그리고 국회의 힘은 의원들의 파워에서 시작된다.

의원들의 역량이 지역 발전을 이끌게 된다.

21대 국회 출범을 앞두고 전북은 과거와는 확연하게 다른 정치 인식이 필요하다.

지역구 국회의원 10명은 물론 30명 안팎의 범전북 국회의원 당선자들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지역구와 비례, 범전북 당선자를 구분하지 말고 이들 당선자들을 전북 그룹에 포함시켜야 한다.

물론 재경 또는 수도권에 있는 출향민들은 범전북 정치인들을 적극 지지해야 한다.

도내 지역구 국회 의석 수가 현재처럼 10석으로 굳혀진 건 얼마 되지 않았다.

전북 정치사에서 조금 멀리 올라가면 제5공화국 당시인 1981년에 치러졌던 11대 총선거부터 12대, 13대, 14대, 15대 국회까지 도의 지역구 국회의원은 14명이었다.

지금보다 4명이 많았다.

1996년 치러진 제15대 국회의원 총선을 예로 들면 14개의 선거구는 군산 갑, 을 2개 선거구에다 정읍, 남원, 김제, 완주, 고창, 부안도 단일 선거구였다.

그러다 2000년의 제16대 총선거부터 지역구가 확 줄었다.

전북 의석 수는 10개로 축소됐고 2004년의 17대 총선거에서 전주가 3개 선거구로 늘면서 11개로 조정됐다.

 11개의 지역구는 19대 총선까지 유지되다가 2016년의 20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10개로 축소되고 21대 총선거도 10개 선거구로 치러졌다.

전북의 지역구 국회의석 축소는 전국적인 의석 조정에 따른 것이어서 인구를 늘리지 않는 한 사실상 방법이 없다.

인구 수 감소 및 충청권 인구 증가 현상이 이어지면 오히려 전북의 의석 수는 차기 선거에서 지금보다 더 축소될 수 있다.

지역구 의석 수가 과거처럼 14명 시절로 돌아가기는 거의 불가능해졌다.

현 10개 의석 유지에 중점을 두고 범전북 정치인들을 전북 현안에 합류시켜야 한다.

21대 국회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재선이 되는 정운천 의원(전주을)은 자신을 전북의 11번째 국회의원이라고 말한다.

전주을 지역구를 떠나 21대 국회에선 비례대표로 활동하지만 전북 현안에 대해선 지역구 의원 이상으로 열심히 하겠다고 강조한다.

정 의원이 탄소소재법 국회 통과의 일등 공신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정 의원과 같이 전북에 대한 애정을 가진 이들이 많아질수록 전북의 힘은 배가된다.

탄소소재법 사례에서 나타나듯 전북도-시군-전북도민회는 제2, 제3의 정운천 케이스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김일현 부국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