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상도 춤문화권 연구
학술세미나··· 예인들양지역
이주 지역적 특성따라 발전
전통원형 보존, 재창조해야

과거 ‘춤은 영남, 소리는 호남’이란 기존 말처럼 한국 전통춤 유파를 이분법 도식에 의해 구분하는 것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9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서 진행된 전북도립국악원의 학술세미나 ‘전라도와 경상도 춤문화권 연구’에서 한국예술종합학교 성기숙 교수는 ‘영호남춤 전승의 예술사적 의의’에서 “영호남지역의 춤 교섭양상은 근대 이후 활발하게 전개됐다.

호남 예인들이 영남으로 이주했고 판소리가 경상도에 확산됐다.

반대로 영남에서 호남으로 이주해 활동한 예인들도 많았다”며 “이런 의미에서 양 지역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발전했고, 서로 교섭양상을 보였다.

지역 특성에 따라 ‘영남은 춤, 호남은 소리’란 명제가 만들어졌지만 전통시대를 넘어 현대에도 이런 해석이 유효한지는 의문이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적 관점에서는 기존 통용된 전통춤 유파 구분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설정이 필요하며, 기존 인식과 통념에 대한 파기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이 오늘 이 자리가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대 김해성 교수는 ‘영남춤의 위상’ 발제문을 통해 “영남지역의 춤은 그동안 세월의 흔적 속에서 기생춤을 중심으로 한 예술춤과 탈춤 그리고 덧배기춤을 위주로 한 향토춤들이 서로 견인차 역할을 하면서 발전했다”며 “신라 문화와 가야 문화가 토대인 영남지역의 춤들은 과거 유물이 아닌 살아 움직이는 전통문화이자 미래의 영남춤을 견인할 문화 창조의 자원이다”고 말했다.

전북대 이경호 교수는 발제문 ‘영호남춤의 전승현황조사-문화재 중심으로’를 통해 “춤은 지역성을 배경으로 타 지역과 차이가 형성됐고, 이런 차별성과 지역성을 기반으로 독특힌 지역춤이 형성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됐다”며 “춤의 본질적 전승현황과 지역적 특수성 영향력의 중요성, 전통의 원형을 보존해 재창조하는 것이 춤의 발전방향을 기대할 수 있는 요소다”고 밝혔다.

용인대 이병옥 명예교수는 기조발제문 ‘영남춤과 호남춤의 생태문화적 비교’를 통해 “영호남은 같은 남쪽지역이지만 여러 지리환경적 차이로 인해 영남은 수직적, 입체적 춤인 팔춤이, 호남은 수평적, 평면적 춤인 손춤이 많다”며 “영남은 춤, 호남은 소리란 명제가 틀린 말은 아니다.

다만 호남이 소리와 기악선율 문화가 뛰어나게 발달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춤이 저평가된 착시현상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전라도춤과 경상도춤의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 규명하고, 양 지역 춤의 특색과 상호관계를 파악해 호남춤의 현황과 발전 발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 토론에는 이종희 영남춤학회 이사, 김용호 전북도립국악원 교육학예실장, 송미숙 전주교육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또 세미나는 주제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특별공연이 마련됐으며, 도립국악원 이화진 교수의 ‘전라삼현승무’, 박은주 교수의 ‘진주교방 굿거리춤’이 진행돼 세미나의 지루함을 덜어내기도 했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