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태양광-풍력연계해
SK데이터센터 등 기업유치
20조 투자-21만개 고용창출

25년까지 3단계 투자전략
추진-논리발굴-국비확보
14개 시군과 지역뉴딜 진행

지난 5월부터 추진단구성
경북과 초광역 프로젝트
동서내륙경제벨트도 담아

전북형 뉴딜의 청사진이 나왔다.

정부의 뉴딜정책에 발맞춰 추진하고 있는 그린뉴딜을 비롯한 생태문명수도 등을 비전으로 그린, 디지털, 안전망의 관점이 스며들도록 했다.

새만금데이터산업 클러스터와 디지털 종자·식품산업 혁신 플랫폼 등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기후변화와 사회안전망 강화 정책을 골자로 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뉴딜정책은 전북의 지역적 특장 점을 반영한 재생에너지 실현과 디지털 혁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다.

따라서 전북에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될 뉴딜사업의 면면을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계획 등을 면면히 살펴왔다.
/편집자주


 

▲ 전북형뉴딜 종합계획 윤곽

전북도가 그린뉴딜 1번지, 생태문명의 수도를 꿈꾼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전북형 뉴딜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전북도는 7일 전북형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새만금 태양광과 서남해 풍력을 발판삼아 SK 데이터센터 등 재생에너지 전용 기업을 유치한 뒤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래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를 통해서 총 20조 원의 투자와 21만개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디지털, 그린, 안전망에 중점을 두고 2025년까지 20조7천800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21만8천개 창출, 신재생에너지 50% 실현, 디지털산업 2배 성장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뉴딜 분야는 새만금 데이터센터 산업 클러스터, 데이터 댐 구축, 디지털 종자·식품산업 플랫폼 조성, 디지털 실감형 콘텐츠 구축, 드론 기반 안전망 설치, 홀로그램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이 주요 과제다.

그린 뉴딜은 신재생에너지 확대, 수소·전기차·그린모빌리티 산업 집중, 생태 백신·그린바이오 생산기반 구축, 농생명 바이오 생태계 구축 등이 주요 사업이다.

안전망 강화를 위해 상생형 일자리 모델 구축, 뉴딜 인재 양성, 보건기관 스마트 인프라 구축, 스마트 돌봄, 초고속망·디지털 교육망 확대 등을 추진한다.

송하진 도지사는 “기후변화 위기와 4차 산업혁명을 슬기롭게 극복하는 방안을 전북형 뉴딜에 담았다”며 “정책 실현으로 새 성장 동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임성진 교수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 가능하고 스마트한 미래를 열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발전 전략이 전북 대전환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북형뉴딜, 자세히 살펴보니

전북형 뉴딜은 구체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디지털 전북’과 ‘기후변화 대응으로 대도약하는 그린전북’ ‘사회안전망 강화로 따뜻한 행복 전북’이라는 3대 정책방향 속에서 ‘9대 분야 27개 과제’와 전북 성장의 모멘텀이 될 ‘8대 대표브랜드 사업’을 담고 있다.

전북도는 ‘디지털 뉴딜’로 지역 경제 전반에 디지털 혁신을 확산시킬 구상이다.

2025년까지 총사업비 3조 8689억원이 투자된다.

일자리 4만900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D.N.A융합 전북경제 △스마트 농생명밸리 2.0 △디지털 문화·관광 실감형 콘텐츠 △안전하고 더 편리한 전북도민의 삶터라는 4개 분야의 13개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전북의 특산품’ 그린뉴딜은 ‘전북형 뉴딜’로 더욱 단단하게 다져 대한민국 그린뉴딜 1번지로 거듭난다는 방안이다.

2025년까지 총사업비 15조8632억 원을 투입된다.

일자리 15만2000개를 창출 목표다.

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1번지·에너지 전환 확대 △그린모빌리티 산업전환 △천년산하 생태백신·그린바이오 등 3대 분야에서 10개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안전망 강화의 경우 △전북형 뉴딜 인재 양성 △디지털 돌봄·포용 등 2개 분야, 4개 핵심과제에 2025년까지 1조479억 원이 투자된다.

1만7000개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여기에 전북의 지역적 특·장점을 반영한 8대 대표브랜드 사업도 중점적으로 추진된다.

8대 대표브랜드 사업은 △새만금 데이터센터 산업 클러스터(5년간 1조1천억 원) △디지털 종자·식품산업 혁신 플랫폼 구축(1천억 원) △초 실감 홀로그램산업 클러스터(1천275억 원) △드론기반 안전망(970억 원) △재생에너지 산업클러스터(6천815억 원) △그린모빌리티 전주기 산업생태계 조성(6천237억 원) △하천·산림·해양 생태백신 조성(1조56억 원) △전북형 뉴딜 인재양성 생태계 구축(1천793억 원)이다.

전북도는 앞으로 전북형 뉴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정책을 개선·보완해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신규 사업의 경우 당위성 등 논리를 보강해 국비를 확보하고 도-시·군 자체재원사업과 초광역사업 및 공공기관과 연계한 사업도 적극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송하진 지사는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위기와 4차 산업 혁명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전북형 뉴딜에 담았으며 ‘그린뉴딜 1번지, 생태문명의 수도, 전라북도’가 되도록 정밀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동위원장인 임성진 교수는 “전북형 뉴딜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하고 스마트한 미래를 열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발전 전략이다. 이번 종합계획이 미래를 선도하는, 전북 대전환의 계기가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전북형 뉴딜의 향후 투자 전략은?

전북도의 전북형 뉴딜의 성공을 위해 투자전략을 단기, 중기, 장기 등 3단계로 나누었다.

단기 전략은 내년까지로 한국판 뉴딜사업에 포함된 전북사업을 통해 내년 즉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중기전략은 오는 2023년까지로 신규 발굴된 전북형 뉴딜사업의 논리를 보강하고, 이를 구체화해 국비 확보와 오는 2022년 대선 지역공약과 연계, 전북형 뉴딜사업의 지속화에 나서겠다는 복안이다.

실제로 도는 국책사업발굴포럼과 과학기술진흥위원회 등을 통해 연구개발사업과 비연구개발사업을 각각 분리해 사업 보완에 나선다.

사회문제해결형 R&D(연구개발), 초광역 프로젝트 등으로 예산을 확보한다.

장기프로젝트는 오는 2025년까지 사업으로 신규 발굴된 대규모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와 새로운 패러다임(포스트 뉴딜) 등장에 따른 사업내용 수정·보완 등을 거쳐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전북은 투자전략을 공모사업과 공공기관 등과 함께 하는 투드랙 전략을 세웠다.

한국판 뉴딜사업에 포함된 전북사업을 중심으로 공모에 참여키로 했다.

또 전북 자체사업, 14개 시군 자체사업, 민간주도 사업 등 지역균형 뉴딜사업을 추진하고 농촌진흥청, 한국국토정보공사, 국민연금공단, 새만금개발공사 등 전북지역 공공기관 등과 함께 전북형 뉴딜사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래 총 283개 세부과제를 실행, 20조, 7천800억 규모의 사업을 완성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사업비는 국비 7조 3천425억, 지방비 2조 7천221억, 민자 10조 7천154억 등이다.

이번 전북형 뉴딜사업의 계속사업은 110개(14조 4천181억)이며 신규사업은 173개(6조 3천618억)다.

전북도는 디지털 뉴딜에 3조 8천689억, 그린 뉴딜에 15조 8천631억, 안전망에 1조 479억 등을 집중 공략한다.


 

▲지난 8개월간의 흔적

전북도는 지난 5월부터 한국판 뉴딜 대응추진단을 구성해 한국판 뉴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다.

지난해 7월 ‘한국형 뉴딜 종합계획 발표’이후, 송하진 도지사를 중심으로 한 ‘전북형 뉴딜 추진위원회’를 8월에 출범시켰다.

이후 9월부터 본격적인 실무추진단을 꾸려 운영한 결과 첫 회의에서는 215건 4조 7천28억 원 규모의 사업을 발굴하기도 했다.

추진위원회는 10월 제2차 회의를 진행 50건에 4조 2천872억 원의 사업을 추가 발굴했다.

이를 바탕으로 각계 전문가들이 포함된 실·국·원별 협의체는 실행력을 갖춘 실·국·원별 추진계획을 세웠다.

전북도는 도 내외 뉴딜 협력체계도 구축했다.

시·군과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도민 제안 공모와 공공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토론회·포럼 등도 추진, 정책 방향과 다양한 의견 수렴 등의 절차를 거쳤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경북도 등과 협력해 발굴한 초광역 프로젝트인 동서내륙경제벨트 사업 등을 이번 전북형 뉴딜 종합계획에 담아내는 등 도민들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도 담아내고자 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