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대학입시인 수시와 정시모집이 4년제 대학에서는 사실상 끝났다.

이미 고교졸업생이 학력인구감소가 절벽처럼 일어나는 학령절벽현상이 올해부터 심각해진다고 이미 몇 십 수년 전부터 경고등이 켜졌다.

대표적인 이야기가 “대학도 망할 수 있다.

망하는 순서는 벚꽃피는 순서대로 망한다”였는데 과연 이러한 일이 일어날까 하고 반신반의 했으나 현실화가 점점 다가오고 있다.

이번 대학입시 정시모집에서 우리나라의 남쪽인 영·호남에 있는 대학들 80%가 경쟁률 3:1을 넘지 못하는 대학이 속출했다.

사실상 미달사태가 정말로 눈사태처럼 일어난 것이다.

학생 한 명이 세 곳에 원서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3대1이면 결국에는 1대1이 되어 경쟁 없이 합격하게 된다.

반면 3:1이하가 되면 결국에는 산술적으로 0.7~0.8:1이 되어 미달이 되는 것이다.

전국 4년제 대학 187개교에 2021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을 보면, 전남 1.73:1, 광주 1.91:1, 경남 2.11:1, 경북 2.12:1, 울산 2.22:1, 부산 2.43:1, 전북 2.68:1, 충북 2.99:1, 대구 3.14:1, 강원 3.20:1, 충남 3.42:1, 제주 3.82:1, 세종 4.15:1, 인천 4.72:1, 경기 4.87:1, 서울 5.04:1로 나타났다.

이는 남쪽에서부터 서울로 가까워질수록 경쟁률의 증가가 뚜렷해짐을 알 수 있다.

경쟁률상으로 보면 전북을 포함한 충북이남은 거의 미달 사태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합니다)와 인구론(인문계 구십퍼센트가 논다)의 문과대학은 거의 미달이다.

또 공대에서도 전통적으로 경쟁률이 높은 전화기(전기과·화공과·기계과)에서도 경쟁률하락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대학 전체 경쟁률이 1:1에도 미치지 못한 속칭, 미달 낸 곳도 18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영·호남이 11곳으로 나타났다.

이 1:1은 결국에는 최종 0.3:1로 된다는 뜻이다.

정원이 1,000명이면, 300명밖에 채우지 못한다는 이야기이다.

48%의 대학교인 90개교가 3:1도 못 채웠다.

더구나 성적이 상위인 학생들이 서울지역이나 수도권으로 대거 이동하여 가기 때문이다.

영·호남지역 대학 68개 교중, 53곳인 78%가 경쟁률 3:1 미만으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더욱 심각해 10개교 모두 3:1에 미치지 못했다.

이로 인해 각 고교 정문 앞에는 형형색색의 플랑카드에는 “아이폰 지급”, “첫 학기 등록금 100% 무료”, “정시 합격자 150만원 등록금 지급”, 심한 곳은 “대학수학능력(수능) 시험 미응시자도 지원할 수 있다”는 선전문구도 덕지덕지 붙어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대학입시 관계자들은 어차피 학생 자체가 없는데 이러한 자극적 유인책의 효용성에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고 있다.

여기에 작년 COVID19의 여파로 재학생들마저도 반수(반재수)와 휴학 등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이다.

결국 대학의 존립에 가장 필수적요소인 고교 졸업생 수의 공급이 대폭적으로 감소한다고 해도 이러한 현상이 일어날까 설마설마했으나, 정말로 눈앞에 닥치고 있는 것이다.

이웃나라인 일본에서도 학령인구 현상으로 인한 몇몇 대학의 도산의 예가 있었으나, 우리나라와 같은 급격한 학령감소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유례를 찾아 볼 수가 없어 벤치마킹도 힘든 상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은 시·군단위의 거의 한 곳 또는 그 이상의 대학이 있다.

이들 대학이 문을 닫으면 그 시·군단위의 경제는 쑥대밭이 되어 마비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남원시의 서남대에서 좋은 예를 찾을 수 있다.

결국 해법은 고교 졸업생 이외에서 찾아야 된다.

외국 유학생 유치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된다.

직장인과 청장년·노인층까지 아우르는 평생교육·재교육 시스템 그리고 교양·취미교육까지 넓혀 가야 한다.

또 하나의 방법이 수도권대학에서 정원을 줄이고 또한 지방 사립대학에서의 비인기 학과를 축소 또는 인기학과와의 합병해야 한다.

취업률이 어느 정도 달성하지 못하는 과들은 과감히 통폐합 해야 한다.

차제에 단과대학 내의 유사학과의 통폐합과 정원을 줄여야 한다.

문과대학과 이공계대학의 융합과 신설로 유도하는 한편 여러모로 학부모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도 잇따르겠지만 더 멀리 내다보고 등록금도 인상해 탄탄한 교육의 질의 향상도 꾀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도권대학과 지방국립거점대학은 연구중심대학으로 획기적인 개편을 통해 창업과 고부가가치 사업에 진원지로 탈바꿈해야 된다.

그 외의 대학들은 수업 ·강의 전담대학으로 전환함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실 지난 10~20년 동안 정부가 학령절벽현상에 대해서 각 대학에 누누이 경고 됐으며, 정부에서도 여러 당근성 사업을 통해서 구조조정도 꾀했었다.

그러나 대학 내에서 현실파악의 부재와 학내·학과간의 미온적인 대처로 인해 작금의 대참사에 이르렀다.

또 다른 가능한 방안으론 지금이라도 정부 주도의 효율적인 반강제적·강제적인 조정안이 있어서, 지방경제 붕괴의 충격흡수와 교육의 질을 지킬 수 있다면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길선 전북대학교 고분자나노공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