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1년의 경제난이 전북지역 상업용 상가 줄 폐업으로 이어져 ‘전국 최고 공실률’이라는 오명을 덧씌웠다는 소식이다.

본보는 이 같은 내용을 1면에 비중 있게 실었다.

본보 취재진은 특히 전북의 상업용 부동산은 일부 신도시 지역의 주택 부동산 급등세와 다르게 고스란히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현 상황을 가감 없이 전했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전주를 비롯한 전북지역 주요 상가거리에는 ‘임대 문의’라는 안내문이 곳곳에 나붙어있다.

한 집 걸러 또 한 집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빈 상가가 늘어났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호가만 올려놓고 숨어버린 일부 ‘가면 쓴’ 주택 부동산 업자들의 고가 매물을 제외하면 공실로 남아 있는 상업용 상가 거래는 끊겨 버린 지 오래라고 한다.

또한 전주지역 구도심과 신도시의 공실 상가들은 구축, 신축 할 것 없이 자물쇠를 모조리 잠가 버린 상태라고 한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에서도 잘 나타난다.

지난해 4분기 2층 이하, 연면적 330㎡ 이하 소규모상가의 공실률은 12.2%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는 코로나19가 본격화되던 지난해 연초 대비 2.1%p 상승한 것이고, 전국 평균치 7.1%보다도 5.1%나 높은 수치라고 한다.

전북지역에서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군산 상권으로 26.6%를 기록했고, 익산역 상권이 15.4%로 뒤를 이었다.

공실률이 높은 군산 상권과 익산역 상권은 공히 코로나19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군산 상권은 지역기반산업의 침체가, 익산역 상권에서는 구도심 상권의 쇠퇴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북지역의 3층 이상, 330면적 330㎡ 초과 면적을 가진 중대형 상가들의 공실률(17%)도 경북(19%), 세종(18.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고 한다.

상가 공실률의 상승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난이 가장 크게 작용했지만 인구감소 현상도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사람이 많으면 그만큼 소비의 대상도 많다는 뜻이다.

사람이 적으니 그만큼 소비도 적을 수밖에 없고, 소비가 적으니 소규모 상가들의 수입 역시 줄 수밖에 없다.

쉽게 말해 휴·폐업 매장과 점포가 많아지는 사회적 분위기는 분명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쳤을 것이고, 이는 고스란히 공실률 상승으로 이어졌을 것이란 생각이다.

가뜩이나 소비 인구도 적은 데 코로나19까지 엎친 데 겹쳐 ‘빈곤의 악순환’을 더욱 고착화 시키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앞선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