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덕리 1호분서 2건 출토돼
15세기 제작 삼국시대 고분
금동신발중 가장 완전한형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첫사례

고창 봉덕리 1호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이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문화재청은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과 함께 고창 봉덕리 1호분의 백제 금동신발 2건을 각각 보물로 16일 지정 예고했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1,500여 년 전 한국 고대인들의 상장례 문화를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이 금동신발은 백제 5세기에 제작됐으며, 삼국 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다.

또 삼국 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되었지만,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동신발은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나다.

비슷한 시기 중국에서는 찾기 힘들고, 일본 고분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신발이 출토된 사례가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고창 봉덕리에 위치한 4기의 대형 분구묘 중 규모가 가장 큰 1호분의 제4호 석실에서 지난 2009년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가 발굴했다.

4호 석실은 전혀 도굴되지 않은 무덤으로, 여기에서 금동신발 한 쌍이 무덤 주인공의 양쪽 발에 신겨져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출토된 것이다.

이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장례 때 의례용으로 사용된 신발로서 백제 시대의 전형적인 형태와 문양을 보여주는 금속공예품이다.

금동신발의 전체 형태는 발목깃을 갖추어 앞쪽은 뾰족하면서 약간 위로 들렸고, 중간 바닥이 편평하며, 뒤쪽은 약간 좁아져 둥근 편이어서 흡사 배 모양을 연상케 한다.

투각의 육각형으로 구획된 형태 안에 용, 인면조신, 쌍조문, 괴수, 연꽃 등 각종 문양이 화려하게 장식됐다.

신발 바닥은 1.7㎝ 높이의 뾰족한 못 18개를 규칙적으로 붙였고, 내부에는 비단 재질의 직물을 발라 마감했다.

이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삼국 시대의 고분에서 출토된 약 19점의 금동신발 중 가장 완벽한 형태다.

또 어자무늬 등 삼국 시대 초기 문양이 확인됐고, 바닥판과 좌우측판, 발목깃판이 구성된 것은 무령왕릉 왕과 왕비 신발과 같다.

여기에 바닥에 징을 박은 백제 금동신발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어 백제의 중앙 권력자가 제작해 왕의 힘을 과시하고 지방 수장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해 지방 유력 지배층에게 내려준 ‘위세품’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백제 시대 의례용 금동신발로서, 보기 드물게 원형을 갖추어 출토된 중요한 고대 금속공예품이자, 다양하고 뛰어난 공예기법을 이용해 제작된 것으로, 5세기 중반 백제 미술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게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나주 금동신발과 함께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국내 최초 원형 그대로 발굴된 유물이라는 점에서 고고학과 역사적으로 의미가 크다”며 “또 같은 시기 중국이나 고구려, 신라의 미술품과 비교해 문양의 기원과 변천,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 지금까지 알려진 삼국 시대 금동신발과 비교해 백제 공예문화의 독자성을 밝힐 수 있는 원천유물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 또한 매우 높다고 평가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등 2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