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중소기업은 물론 소상공 자영업자들까지 큰 피해를 보고 있고, 이는 도미노처럼 일반 가계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보는 코로나19로 대내외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금융권 문턱을 넘는 중소기업들이 많아졌다고 전하고 있다.

그 근거로 이자가 비싼 제2금융권으로 기업들이 몰리고, 대출 역시 크게 확대됐다고 진단한다.

본보는 이런 상황을 “기업-가계 여전히 빚으로 버틴다”는 제목으로 경제면 톱에 올렸다.

이는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2020년 연간 전북지역 금융동향’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여신규모는 무려 5조6887억 원으로 3조8천억 원이었던 전년에 비해 무려 1조8천억 원 가량이 확대됐다고 한다.

코로나19 사태가 경기한파를 키우면서 신용대출, 예·적금 담보대출 등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증가한 데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기업대출 규모가 대폭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를 기관별로 보면, 지난해 예금은행 여신은 2조6천437억 원으로 전년 1조3천807억 원보다 크게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기업 대출 규모는 줄었지만 코로나19로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을 확대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한다.

실제 기업대출 규모는 8천억여 원에서 1조8천억여 원으로 1조 원가량 증가된 데다 신용대출, 상업용부동산담보대출 등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역시 6천300억여 원에서 8천300억여 원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이와 함께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여신 역시 가계대출의 증가세보다는 중소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기업대출이 가파르면서 전년보다 확대됐다고 한다.

결국, 코로나19 사태 여파가 경기위축은 물론 고용시장 한파까지 불러오면서 생활자금을 이유로 금융권을 찾는 서민, 그리고 자금난을 해소하고자 금융권의 문턱을 넘는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으며 1·2금융권 모두 여신 규모가 크게 확대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더욱이 정부의 방침에 따라 1금융권의 기업대출 규모가 2금융권보다 크게 확대됐지만 기업의 신용도 하락 등의 이유로 2금융권을 의지하는 기업 역시 줄지 않고 있다고 한다.

신용도에 악영향을 미치지만 어쩔 수 없이 금융권에 자금을 끌어다 쓸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는 말이다.

이런 데이터들은 중소기업, 소상공인, 가계가 “어렵다어렵다”하고 있는 게 그저 볼멘소리가 아님을 증명하고 있다.

백신접종으로 코로나19의 소강사태가 예상되지만 침체된 경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여 관련 당국의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