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령인구 절벽··· 지방대의 위기

도내 4년제 정원미달 2,209명
전년대비 1,649명 약 3배 증가
원광대 766명 최다 전북대 60명
전국 지방대 2만3,767명 166%↑
대규모 미달사태 속출 심각
정부-지자체 차원 지원 절실

코로나19로 유학생 유치 감소
전북 전년비 감소율 1% 낮아
어학연수-교환학생수 절반 줄어
유학생 커리큘럼 개발 힘써야

정시경쟁률 3대1 이하 정원미달
도내 대학 학생 충원 한계 달해
2021년 고3 수험생 1만7,424명
2024년 1만5,700명 전망 확줄어
대학 스스로 경쟁력 갖춰야
특성화교육-구조조정 대책을

2037년 대학정원 40% 못채워
지방대 3곳중 1곳 50% 미달
2020년생 고3 41만3천여명
2035년 37만선 2037년 30만명
신도시개발로 학교수만 늘어
지역사회 경쟁력 악영향
질적 교육환경 개선 투자를

지방대학의 생존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학령인구의 감소로 수시는 물론 정시에서 조차 학생 정원 모집 미달 사태까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엎친데 겹친격으로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도 빨간불이 켜지면서 여러모로 학생 모집에 진통을 겪고 있는 게 대학의 현실이다.

더구나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지방대의 존립 기반마저 위협받아 지역사회에 미치는 파장이 매우 클 수밖에 없다.

올해 수능 응시자는 43만여명으로, 대학 입학정원인 49만여명보다 크게 모자라 역전 현상이 본격화했다.

앞으로 갈수록 더 심각한 데 대학 입학 가능 인구수가 오는 2025년 37만 6,000명까지 감소한다는 게 교육부 통계다.

특히 수도권보다는 지방으로 갈수록 더 우려감과 상실감이 클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토대로 갈수록 벼랑 끝에 몰리고 있는 지방대의 위기에 원인과 실태상황 등을 분석, 진단해 본다.
/편집자주



▲전북 주요 대학 정원모집 미달사태 속출…학령인구 절벽 현실화

전북지역 주요 4년제 대학교 6곳의 학생 정원모집 미달 규모가 2,200여 명으로 나타나 학령인구 절벽’ 현상이 현실화 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2021학년도 도내 4년제 대학교 6곳의 추가모집 인원은 2,209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학년도에 비해 1,649명이 늘어난 수치다.

전 학년도와 대비해 미달인원이 약 3배(294%) 가까이 증가했다.

추가모집은 정시 합격자를 선발하고도 정원을 채우지 못해 진행하는 것으로 대학들은 오는 27일까지 각 대학별로 추가모집을 진행한다.

도내 대학별 추가모집 인원은 군산대 327명, 전북대 60명, 우석대 336명, 원광대 766명, 전주대 338명, 호원대 382명 등이다.

전북대를 제외한 도내 대학들은 각각 최소 200명 가량을 추가로 모집해야 한다.

실제 2020학년도와 대비하면 올해 추가인원 모집은 최소 190명 이상 늘어났다.

2020학년도 추가모집인원은 군산대 63명, 전북대 38명, 우석대 90명, 원광대 78명, 전주대 102명, 호원대 382명이었다.

대학별로 추가모집 증가수는 군산대 264명(419%), 전북대 22명(58%), 우석대 246명(273%), 원광대 688명(882%), 전주대 286명(231%), 호원대 193명(102%) 등이다.

이 같은 현상은 수도권 대학보다 지방대에서 가속화하는 추세다.

올해 전국 대학교들의 추가모집은 162개대에서 2만6,129명 모집으로 전년 대비 1만6,299명 늘어났다.

지방권 소재 대학의 추가모집인원은 전년도 8,930명에서 올해 2만3,767명으로 166.1% 증가했다.

수도권 소재 대학은 전년도 1,022명에서 올해 1,502명으로 47.0% 증가했고 지방대들은 수도권 대학들보다 모집인원이 2만2,715명(119.1%) 증가했다.

도내 대학들은 이번 대규모 미달 사태의 주요 원인을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응시자 부족사태로 초래된 만큼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과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전주대 관계자 “지난해 대비 수능 응시생이 5만명 줄어들어 미달사태가 올해는 더욱 심각하다”며 “앞으로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과 지속적인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광대 관계자는 “이런 추세로는 설령 학과 통폐합을 하더라도 운영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며 “정부 및 지자체의 대학들의 장기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호소했다.



▲코로나19 영향 전북 주요 대학 대부분 유학생 유치 소폭 감소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북지역 주요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북지역 외국인 유학생은 전년 비해 4개 대학 평균 1% 감소, 전국 평균 11% 보다는 감소폭이 낮았다.

최근 대학알리미의 공시자료에 따르면 도내 4년제 대학들의 외국인 유학생 감소는 대체로 지난해 코로나19 발생 이후 어학연수생과 교환학생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적으론 10만 1104명으로 전년대비 1만811명(11%)감소했다.

강원, 경남, 경북, 부산, 충북의 경우 유학생 감소폭이 2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북은 1%로 인근 전남 4%, 충남 2% 보다 더욱 낮은 감소폭을 보였다.

전북대의 경우 총 유학생은 지난 2019년 1,18명이었으나 2020년은 977명으로 41명 감소했다.

학위과정의 경우 2019년은 577명에서 2020년 729명으로 152명이 늘어났다.

다만 어학연수생은 233명에서 154명으로, 교환학생 수는 181명에서 73명으로 줄었다.

기숙사 수용 여부는 학위과정의 경우 60명에서 56명으로 줄었고 비학위과정에서는 285명에서 121명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도내 사립대들도 역시 감소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대는 지난 2019년 1,180명에서 2020년 1,299명으로 119명이 늘었다.

원광대는 110명(431명→321명), 우석대는 313명(1,128명→815명)으로 감소했다.

이들 대학 역시 학위과정 학생들은 늘거나 소폭 줄었으나 비학위과정 부분에서는 대폭 감소로 나타났다.

어학연수 및 교환학생 등 연수과정 부문에서 우석대는 846명에서 423명, 원광대는 83명에서 21명, 전주대는 539명에서 464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단 언어능력 충족 학생 비율은 2019년과 2020년 통틀어 평균 25.56%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북대가 간신히 절반(49.6%→54%)을 넘었으며, 원광대는 소폭 상승(13.2%→19.7%)했으나 평균을 넘기지 못했다.

우석대(26.6%→24.1%)와 전주대(41.8%→38.3%)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를 두고 도내 대학가에선 이런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들을 적극 유치할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개발에 힘써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최근 전북대는 ‘아시아 대학 교육 연합(AUEA)라는 글로벌 인재양성 플랫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도내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도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치가 어려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어찌됐든 이를 극복키 위해 더욱 고민하고 차상책을 찾도록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학령인구 감소 및 유출에 따른 지방대 생존 전략 무엇보다 시급해

전북지역 주요 대학들이 발표한 2021학년도 정시 경쟁률을 살펴보면 4년제 대학이 평균 2.38대 1로 전년 3.73대 1 대비 1.35P 감소했다.

경쟁률은 전북대 3.17대 1, 군산대 1.6대 1, 원광대 2.1대 1, 전주대 2.3대 1, 우석대 1.2대 1 등이다.

도내 전문대학을 더할 시 정시 경쟁률은 2.07대 1이다.

전주비전대는 2.08대 1, 전주기전대 0.52대 1을 보였다.

정시 경쟁률 3대 1 이하는 사실상 정원 미달을 의미한다.

수험생이 가·나·다 군에 모두 3번 지원 가능해 사실상 1대 1 경쟁률 이하이다.

전북대와 일부 사립대 특수학과를 제외하면 대부분 대학이 정원 충원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지난해보다 정시 경쟁률이 절반으로 추락한 상황에서 도내 대학들의 학생 충원이 한계에 봉착했다고 볼 수 있다.

전북지역 학령인구 감소를 살펴보면 도내 2021학년도 고3 대입 수험생은 1만 7,424명이다.

앞으로 예비 수험생 수는 오는 2022학년도 1만 7,179명, 2023학년도 1만 6,800명, 2024년도 1만 5,700명 선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이처럼 입학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등 유출이 지속되면서 전북지역 대학들이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해 불가피하게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지방대는 살아남기 위한 대책 마련이 적극 나서야 한다.

도내 일부 사립대에선 신입생 유치를 위한 입학금 감면·면제를 타개책으로 내놓고 있지만 아직까진 신입생 유치에 대한 기대효과는 체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도 절실하나 재정지원에 한계가 있고 지원을 한다 해도 일시적인 미봉책이다.

따라서 대학 스스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구조적인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립대 통폐합과 함께 사립대학도 대학 간 연합과 통합이 필요하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 대학 특성화와 구조조정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 또한 대학이 지역기업 인재양성과 평생교육의 장으로 지역사회와 연계된 특성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게다가 수도권 대학도 살아남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 지원만 바라보지 말고 구조조정과 재단 재정확충 등 자구책을 마련하는 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고3, 오는 2030년대 30만명 수준 오는 2037년 대학 정원 40% 못채워 대학 존폐 위기설

대학 입시를 치르는 고3학년 학생 수가 2020년대 45만명 가량을 유지하다가 오는2030년대에는 30만명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게 교육전문기관의 분석이다.

특히 대학 입학정원을 대폭 줄이지 않으면 2037년엔 대학 정원의 40%를 채우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대와 전문대 입학정원은 53만3,492명(방송통신대 제외)이고, 고3 학생 수는 49만7,562명이었다.

물론 고3생 모두가 대학을 가는 것도 아니고 재수생 등 ‘n수생’, 외국인주민의 국내 출생자녀 등이 변수다.

하지만 대체로 고3 학생 수 추이를 보면 학령인구 절벽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가늠할 수 있다.

출생아를 분석해보면 2020년대 고3 학생수 는 41만3,179명(2023년)과 47만3,365명(2025년) 사이를 오르내린다.

향후 10년간 평균 고3 학생 수는 약 44만7,300명이다.

문제는 현재 만3세가 고3이 되는 2035년부터다.

37만2,650명으로 줄더니 2년 뒤엔 30만9,300명까지 내려앉는다.

한국교육개발원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 탓에 앞으로 극소수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 대학이 신입생 보릿고개를 겪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학령인구 절벽 문제는 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다.

일선 학교의 초등학생 수는 2016년 269만여명에서 올해 267만여명으로 2만명(0.8%) 정도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올해 중학생 수는 5년 전보다 14만여명(9.7%) 감소한 131만5,800여명이었다.

올해 고등학생 수는 133만7,300여명으로 2016년(175만2,400여명)보다 무려 23.7% 감소했다.

반면에 학교는 오히려 증가했다.

올해 초·중·고교 수는 1만1,926개교로 5년 전보다 88곳 더 늘었다.

신도시 개발 등의 여파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올해 학교당 평균 학생 수는 초등학교 426.36명, 중학교 406.00명, 고교 564.99명으로 5년 전보다 각각 3.43명, 44.40명, 180.10명 줄었다.

고교의 경우 지역규모별로 감소 폭은 달랐다.

올해 특별·광역시 고교당 학생 수는 평균 658.06명으로 5년 전(896.00명)보다 26.55%나 줄었다.

이어 면 지역(236.66명·24.56%↓), 도서벽지(138.19명·23.74%↓), 시지역(681.50명·23.54%↓) 순이었다.

읍지역 평균 학생 수는 384.93명으로 5년 전(482.15명)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하게(20.16%↓) 감소했다.

한국교육개발원 관계자는 “특별·광역시의 학교당 학생 수 감소폭이 제일 크다는 의외의 결과에 평준화 정책과 대규모 택지개발 등 관련 요인을 연구 중이다”면서 “앞으로 경계해야 할 것은 양적인 학생 수 감소가 학교나 학급, 교원 등 교육환경 투자 감소 논리로 작동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양적 통계에 나타나지 않은 교육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교육복지 등 질적인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대 신입생 충원률 부족 위기 지혜롭게 극복해야

대학교육연구소는 지난해 7월 발표한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에서 수도권 대학은 2024년까지 대부분 신입생 충원율이 7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에 지방대는 70% 미만이 3곳 중 1곳, 신입생을 절반도 못 채우는 50% 미만은 10곳 중 1곳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2037년에는 지방대 3곳 중 1곳이 신입생의 반도 못 채울 것으로 진단했다.

지방대의 위기는 해당 대학만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학생 수 감소로 지방대의 재정난이 심화하면 수업의 질 저하는 물론 대학 주변 상권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자치분권 강화를 국가균형발전의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는 정부는 이에 걸맞은 실효성 있는 지방대 육성 방안도 내놓아야 한다.

지자체도 대학과 머리를 맞대 학령인구 감소가 가져올 지방대의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대학은 지역사회에 밀착한 경쟁력 있는 교육기관으로 거듭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 이 같은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해야 한다.

/정병창기자 woojuchang@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